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신화에서 시작되었다 - 전 세계가 열광하는 콘텐츠의 공식
오키타 미즈호 지음, 이정미 옮김 / 포레스트북스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의 모든 이야기는 신화에서 시작되었다> 오키타 미즈호, 이정미, 포레스트북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이야기의 원형은 신화에서 시작되었다는 말에 처음부터 당연한 말이라고 생각하며 읽기 시작했다.

그래도 뭔가 작가만의 방식으로 신화를 풀어갈 것이라는 기대와 이 작가가 기존의 신화와 현재의 이야기를 어떻게 연결했을 지 궁금했다.

우리에겐 좀 낯선 분야인 신화학을 연구하는 작가는 다양한 세계의 신화를 현재의 이야기와 연결해서 소개하기도 하고 고대 신화들이 가지는 특징들을 이야기한다.

전세계에 퍼져있는 신화지만 뱀에 대한 가치관들이 간사하거나 부정적으로 비슷하게 표현되는 경향이 많다는 점은 뱀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세계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기는 하지만 특히 지중해권에서 신화에서 홍수로 인해인류가 멸망하는 이야기가 고르게 나오는 이유가 혹자는 유사한 사건에 대한 결과로 보는 경우도 있지만 이 책의 저자는 모든 신화의 원류를 메소포타미아의 길가메시 신화에서 시작해 여기저기 퍼져나간 걸로 설명하고 있다.

뭐든 정확한 정답은 없겠지만 성서나 그리스 신화의 홍수이야기보다 길가메시가 더 오래된 이야기라는 점은 분명한 사실로 받아드려지는 것이 학계의 정설이라는 점은 알 수 있었다.

주제가 좀 산만하긴 하지만 이 책을 통해 신화학에서 신화의 유형을 분류하는 방식이 존재하고 그 원형을 제시하는 것이 우리가 잘모르던 인도네시아나 태평양 어디 섬나라 신화까지 등장시키기도 하고 어느 정도 익숙한 그리스 신화나 성경에 대해서도 신화학적인 해석을 보여주기도 한다.

여러 이야기 중에서도 3기능설이라는 이야기에 흥미가 끌렸다.

신화 속에서 등장하는 세가지 신물이 각각 신격(왕격 또는 권력), 무력(또는 전투력), 풍요(또는 다산)의 상징으로 등장한다는 사실을 트로이 전쟁을 이르켰던 파리스의 황금사과에서 부터 북유럽과 인도 신화를 거쳐서 저자가 소속된 일본의 신도에서 말하는 세가지 신물까지 이어서 설명해준다.

이야기 전반에서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북유럽 신화나 인도신화를 자주 언급하는 점도 좋았다. 특히, 인도신화는 마지막 한 챕터를 할당해서 <마하바라타>와 <라마야나>에 대해 간략하지만 중요한 내용을 함축해서 의미있게 다루고 있어 우리에게 생소한 신화에 대해 궁금한 사람이라면 일독을 권해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