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를 사용한 조작의 역사 - 권력의 도구로 전락한 숫자들
앙투안 울루-가르시아.티에리 모제네 지음, 정수민 옮김 / 북스힐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숫자를 사용한 조작의 역사> 앙투안 울루-가르시아, 티에리 모제네, 정수민, 북스힐

역사 속에서 많은 조작들이 있었지만 수학적 계산 결과나 통계적 수치가 조작에 사용된 경우가 많이 있었다.

이 책은 그렇게 숫자가 권력이 도구로 사용되는 순간들을 보여주면서 우리가 어떻게 많은 숫자에 둘러쌓여 살아가는지 보여주고 있다.

논문 속에서 논증할 경우에도 수식과 숫자가 들어가면 더욱 그럴듯하게 보이고 숫자로 채워진 보고서들은 그 안에 진실을 담고 있는 것처럼 보여주게 된다.

하지만, 숫자 자체가 속임수이거나 때로는 숫자를 해석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생기면 보여지는 현상들이 전혀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된다.

책은 때론 프리메이슨의 기원으로 소개되기도 하는 고대의 철학자겸 수학자인 피타고라스가 펼치는 대중 선동기법으로 시작한다. 사실 피타고라스 정리로 알려진 수학적 정리가 피타고라스의 발견물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수학과 정치를 연결한 그의 업적은 피타고라스 학파를 형성하고 강력한 카르텔을 구축했다는 것으로 잘 알려져 현대 음모론의 기원을 만들게 된다.

이후 마키아벨리가 사용했던 숫자와 산술평균이 가지는 불평등성을 거쳐 국가가 어떻게 숫자를 필요에 따라 만들어 사용했는지 보여주고 있다.

평균에 대한 이야기를 할때 빠질 수 없는 이야기가 인간에 대한 평균화이다. 평균적인 인간을 만들려는 권력자들의 의지는 결국 평균 밖의 인간들을 제거해 나가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고 우생학의 기초가 되었다.

살아가면서 '중간만 하자'라는 말을 자주하게 되는데 보통의 인간을 살아야 한다는 명제는 사실 권력에 순종하라는 폭력과 같은 말이 될 수도 있다.

근대와 현대에 와서 사용되는 다양한 통계들은 더욱 복잡하면서도 정교하게 대중을 기만하기 시작한다. 인과관계를 무시한 경제이론부터 매번 국가 경쟁력을 나타내는 GDP나 실업율과 같은 지표들이 사실 진짜 그 나라의 경제상황을 대표하기 어려울 수 밖에 없는 함정들에 대해서도 짚어본다.

최근 코로나로 인해 겪은 팬데믹 상황에서 백신 무용론이 판치던 일부 군중에게 사용되었던 백신에 대한 거짓 숫자들까지 설명하고 나서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어린왕자의 한구절을 인용하며 이상이 된 숫자 B612로 끝을 맺는다.

전개는 좀 지루하지만 많은 점들에 대해 생각하게 하고 거짓 숫자의 쓰임에 대해 이해하기 좋은 책이었다.

※ 이 리뷰는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