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오는 미래, UAM 사업 시나리오 - UAM 도심항공 모빌리티 사업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이정원 지음 / 슬로디미디어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가오는 미래, UAM 사업 시나리오> 이정원, 슬로디미디어

똑 같은 용어는 아니었어도 도심항공교통 (UAM, Urban Air Mobility)이라는 말이 일상적으로 쓰이는 날이 올 것이라고 상상한 적은 있었다. 우리가 보았던 많은 공상과학영화나 소설 속에서 그리는 모습이었기 때문에 사실 낯설음 보다는 당연히 올 미래가 지금 오고 있구나 정도로 다가오고 있다.

이 책은 그런 UAM 사업이 지금 어느 단계에 와있고 사업동향은 어떤지 앞으로 어떤 사업 전망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해준다.

UAM에 대한 관심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안전과 직결되는 사업이다보니 복잡한 도심을 운행하는 항공수단에 대한 신뢰성이 중요한 것 같다.

결국 교통인프라에 대한 사업이고 그에 따른 사업 모델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고 실제 운행되는 항공기에 대한 관리주체도 중요한 이슈가 되는 것 같다.

UAM 공항을 버티포트라고 부른다. 일종의 허브 역활을 하게 될 버티포트는 고속버스 터미널을 연상하게 된다. 고속버스터미널에 가면 택배를 포함한 각종 서비스가 연계되어 있던 점이 이제는 UAM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게 될 것이다. 새로운 물류시스템이 가져올 변화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도심 빌딩 숲 사이를 날아다니기엔 여러가지 해결해야할 과제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지며 도시와 도시를 이어주는 역활이나 도심 주변부 관광산업을 연계하는 것도 가능해 보인다.

우리나라에선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그룹과 한화시스템이 중심이 되는 그룹에서 모빌리티 중심으로 사업화를 모색하고 있고 기타 모빌리티는 구입한 서비스 중심의 사업화 그룹이 몇몇 더 존재하고 있는 것 같다.

무인이든 유인이든 앞으로 도심교통의 중요한 축이 될것은 분명해 보이지만 안전에 대한 확실한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과 사업화에 따른 손익지점에 대한 부분은 아직 명확하지 않은 것 같다.

어찌보면 연구보고서 같은 책이기도 하지만 현재 UAM 산업이 국내외로 어떤 상황이고 어떻게 발전해가는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