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밥상 - 우리의 밥상은 어떻게 만들어져 왔을까
김상보 지음 / 가람기획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밥상> 김상보, 가람기획

조선시대에는 어떤 음식을 먹었을까?

사실 많은 음식들이 복원되고 있지만 서양의 유화 속에 그려진 음식처럼 따로 이미지형태로 전해지는 음식들이 없고 대부분 한문을 통해 기록된 기록들이기때문에 음식의 원형을 복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고 보여진다.

이 책은 그런 조선의 밥상을 다양한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그 당시 즐겨 사용했던 음식재료나 궁중이나 반가에서의 음식 풍습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일상에서 먹는 음식 뿐 아니라 혼례음식문화, 제사음식문화, 외식문화에 대해서도 다루고 조선시대 외식문화는 주로 역관을 중심으로 발달했으며 일제 침략기를 거쳐서 궁중요리가 대중화되는 과정은 프랑스 혁명으로 레스토랑 문화가 발달하는 점과도 닮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음식을 다루다보니 조선시대의 주법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점심이라는 단어의 유래에 대해서도 소개한다.

의외로 다양한 재료를 밥상위에 올렸던 조선시대라 지금의 내 상상과는 달리 생선회도 많이 먹었고 가마보고같은 어묵 비스무리한 음식도 있었으며 의외로 양고기도 많이 먹었다고 한다.

음식은 문화다.

주어진 재료나 새로운 재료를 그 시대에 맞게 조리해서 입맛을 돋구는 것이기에 지금 우리가 즐기는 음식과 조선시대의 음식은 많은 맛이 달랐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고추가루가 수입되기 전 김치에 사용하던 천초라는 것은 어떤 맛일지 궁금해 진다.

지금의 기준에서 모든 걸 이해하기 쉽지 않지만 그래도 조선시대 다양한 음식문화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시대별로 사용된 음식재료까지 문헌의 기록들을 꼼꼼히 살펴 자세히 비교해주는 좋은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