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은밀한 감정 - Les émotions cachées des plantes
디디에 반 코뵐라르트 지음, 백선희 옮김 / 연금술사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식물의 은밀한 감정> 디디에 반 코뷜라르트, 백선희, 연금술사


가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다가 드는 궁금증 중 하나가 사람들이 식물과 동물을 분리해서 생각한다는 사실이다.

공장식 축산으로 대규모 사육하는 동물과 논과 밭에서 대량으로 재배되는 식물 모두 생명을 가진 생물이라는 사실이 가지는 의미가 다른 사람들에겐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다는 사실에 당황하곤 한다.

이 책은 식물이 가진 감정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보고 있다.

책의 저자가 프랑스의 유명한 소설가라고 하는데 식물학자가 아닌 작가가 담아낸 이야기라서 그런지 때론 유쾌하게 때론 유연하게 이야기를 이끌어가지만 의외로 지금까지 잘못알려진 많은 실험들에 대한 냉정함을 유지하며 소개하고 있어 이야기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주고 있다.

식물들도 다양한 감정(?)과 지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이미 여러 실험들도 증명되고 있지만 그것이 진짜 감정인지 지능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끝난 것 같진 않다.

중요한 것은 식물들이 가진 감정적 대응이 어쩌면 동물들이 가진 감정적 대응의 초기버전일 수도 있고 우리는 진화의 한 방식에 익숙한 그저 식물의 한 변형일 지도 모른다.

책에서도 지적하듯이 사실 지구는 다수의 식물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식물은 지구 환경을 결정하는 것에 절대적인 지배생물이라는 점에서 우리는 좀더 식물에 대해 이해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단순히 자신을 공격하는 포식자에 대한 대응이나 음악을 즐기는 식물의 모습과 같은 신기한 모습만이 아니라 어쩌면 지구라는 거대한 생태계를 이끌어가는 유기적인 뉴럴로서 식물이 자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식물들은 환경과 유기적인 관계를 만들어가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되었다.

영화 <아바타>에서 자연과 연결되는 장면처럼 우리도 주변의 많은 생물들 그중에서도 식물들과도 무의식적인 수준에서도 이미 연결되어 살아가고 있었던 것이다.

문득 얼마전에 읽었던 김초엽작가의 첫 장편 <지구 끝의 온실>에서 더스트에 오염된 지구를 되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장면들도 오버랩된다.

책에 소개된 클리브 벡스터의 연구에 대해 좀더 찾아보고 싶어졌고 다른 식물들이 모두 클래식을 좋아하는데 유독 강낭콩만 락음악을 좋아한다는 사실에 얼마전 아이가 학교에서 받아온 강낭콩이 죽은 것이 락음악을 자주 틀어주지 못한 것도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는 기분이 들었다.

이 책에서 소개한 식물의 감정과 지능이 우리의 그것과 동일한 것은 아닐지도 모르지만 우리가 느끼는 식물의 정적인 모습과는 다른 살아있는 생물로서 식물이 가지는 역동성은 잘 묘사되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지금 키우는 텃밭의 작물들에게 찾아가는 날만이라도 음악감상시간을 만들어줘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