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 정조대왕 - 조선의 이노베이터
이상각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선시대 왕중에 가장 죽음을 안타깝게 생각한 사람이 정조다.그리고 정조가 의문의 죽음을 당하지 않고 영조처럼 50년 통치 했으면 좋았을텐데 라고 생각하곤 한다.역사에 만약 이라는 단어는 없지만 만약 이라는 단어를 가장많이 쓰고 싶은게 정조 이다.정조가 이루어 놓은 개혁정치들이 그의 죽음과 함께 예전으로 다시 돌아갔기 때문이다.제1의 증흥을 세종대왕이 이룩 했다고 보면 정조는 제2의 중흥기를 이루려고 하는 시점에서 실패하고 말았다.정조는 그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죽음을 통해서 세손때부터 철저히 준비를 한다,무너져간 왕권을 바로 세우고 백성들을 위한 정치를 펴기 위해서 노론을 안심시키지만 천천히 그가 펼치고자 하는 정책들을 펴기 위해서 준비한다,우선 철저히 소외받던 서얼 들이나,남인,서인들을 중용하고,역대 왕들의 도서관을 세운다는 명제하에 규장각을 세우고 실력있는 인재들을 규장각을 통해 임용한다.그리고 왕권 강화에 필요한 군사 조직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노론들의 위협에서 벗어 나려고 한다.그리고 화성을 건설을 하여 수도를 옮기려는 위대한 계획도 세운다.급히 서둘지 않고 천천히 계획들을 실천해 나간다.그리고 백성들의 소리를 듣기 위해서 행차시 백성들이 억울함을 호소하면 그들의 의견을 들어주고 해결 하였다.그 밖에도 지방 수령들의 신분과 권한을 인정하고,근무 평가를 잘 받으면 승급과 요직을 보장 하였다.그리고 암행어사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지방 수령들의 견제 장치로 활용 하였다.그 외에도 경제제도 및 사법 제도를 현실에 맞게 고쳐 나갔다.만약에 정조가 죽지를 않고 그의 정책들을 계속 밀고 나갔다면 우리의 역사는 100년 정도 앞으로 정진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정조이후의 조선은 망국의 길로 접어들기 때문이다.이런 좋은 기회를 놓쳐버린 현실이 매우 안타깝다.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지금의 한국 사회 에서도 기득권을 지켜려는 집단과 기득권을 빼앗으려는 집단이 개혁 이라는 이름의 줄다리기을 계속 하면서 자기것을 지키려고 서로 힘 겨루기로 아까운 시간만 낭비하고 있다.그러면서 조선시대의 당파 싸움이 백성들 에게 도움을 주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점을 반성해야 한다고 그들은 목청것 주장한다.과연 개혁 이라는 단어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라는 생각을 많이하게 되었다.결국 개혁은 급하게 추진하는게 아니라 초기의 정조처럼 가랑비에 옷 적시듯이 철저히 준비하여 천천히 바꾸어 가는 것이다.그 누구도 급격하게 추진 하는것을 싫어하며 공공연히 불안을 유발 한다고 주장 한다.지금의 현재나 정조때의 현실이나 별반 다를게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하지만 지금이 안타까운 것은 정조처럼 철저히 준비 하여 개혁을 진행 하려는 지도자가 없다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책의 전체적인 면을 보면 저자가 준비를 많이 했다는 생각이 들었다.저자는 정조의 입장에서 생각을 하고 그가 처했던 현실을 철저히 분석 했으며 그가 행하였던 행적들을 일목요연 하게 정리 하였다.그리고 정조에 관련된 여러 주장들을 최대한 객관적인 입장에서 설명 하려고 노력 하였다.특히 4부 정조 안의 사람들과 정조 밖의 사람들을 조명 함으로써 좀더 정조를 자세히 설명 하지 않았나 하는 느낌을 받았다.그동안 궁금했던 조선 후기의 문제점과 그것을 고치고자 했던 여러 인물들을 만났던 유익한 시간이 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okdagi 2007-09-20 15: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만약이라는 말이 생각나는군요. 리뷰 잘 읽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