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수옥 시인의 두 번째 시집

그의 시에는 낮고 가난한 것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엿볼 수 있다.
한 평생 쇠똥을 밀고, 쇠똥을 먹으며 거꾸로 서서 굴리는 쇠똥구리의 삶이 그러하듯,
허섭스레기가 그렇게 절박한 밥인 수염거친 사내, 땅거미처럼 스며드는 사내의 삶도,
산소용접기로 불에 터진 뼈대의 상처를 불로 꿰매는 목재공의 삶도 모두들 그렇게 따뜻하다.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비가(悲歌)
시집 <거꾸로 서서 굴리다>는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비가(悲歌)다. 시골집 행랑채도 사라지고, 쇠똥구리도 사라지고, 돌담도 사라지고, 소래 기찻길도 옛 길로 이미 사라지고 말았다. 학교 문턱도 밟은 적 없어, 삶의 끝자락에서야 겨우 자신의 온몸으로 기역자를 그려내신 어머니마저 끝내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조수옥 시인은 그처럼 사라진 것들, 혹은 사라져가는 것들을 노래한다. 그래서 그의 시편은 통째로 이별 노래로 안겨온다. 그 이별 노래가 참으로 애틋하다. 더더구나 사라지는 것들은 자신만의 진실을 등 뒤에 발자국으로 찍어놓지 않는가!

 현란한 말의 유희를 넘어서 인간에 대한 믿음에 바치는 헌사(獻辭)

그의 첫 시집 <어둠 속에서 별처럼 싹이 트다>의 초점이 경계 밖 사람들에게 있었다면, 이번 시집은 그대의 모난 돌과 나의 모난 돌이 함께 맞물려 돌담이 되는 즉, 인간 신뢰가 "저 무너져가는 돌담을 함께 일으키는 힘"으로 승화되고 있다. 그의 시에는 군더더기가 없다. 말을 위한 말, 지나친 표현에의 경도, 진정성인 듯 과장된 사유와 철학, 언어의 현학적 병렬 등을 달가워하지 않는다. 예컨대 내용물에 비해 포장만 현란한 상품이기를 거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