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보, 역사의 명장면을 담다
배한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11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국보들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수 있는 기회가 흔치 않은데, 한국사의 흐름과 함께 대표적인 문화재들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을 만날 수 있는 기대감도 든 책이다.
저자는 역사 전공자는 아니지만 관심과 흥미를 전문적으로 살려 활동하고 있다. 얼마만큼의 열정과 관심, 애정이 있어야 이렇게 한 분야의 책을 만들 수 있는 것인지 놀라웠다.
대한민국의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재들이기에 익숙한 목록들이 많았고, 시대와 나라별로 문화재들을 목차로 삼아 독자들의 시간적흐름을 돕고 전문적인 이야기를 만날 수 있게 한 점이 흥미로웠다.
역사시간에 짧게 배우고 넘어간 '가야'의 대표유물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를 끌었다. [공개조차 꺼렸던 소박한 가야 금관]으로 이야기가 시작되는데, 사진을 보니 화려한 장식보다 한땀한땀 테두리가 눈에 들어오는 정말 소박한 금관이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금관으로 발견되었음에도 그 시작은 도굴꾼들이 파헤친 땅에서 시작되었다는 이야기가 가슴이 아팠다. 가치를 지닌 물건들은 시간의 흐름이 잘 맞아야 발견과 보존이 잘 이루어질 것 같다. 그만큼 역사학자들과 고고학자분들의 노고가 느껴지는 순간이었고, 위험한 순간이지만 발견된 문화재가 감사했다.
가야의 금관이 하나 더 있는데, 보존되고 있는 장소가 일본이라는 사실을 알고 안타까웠으며, 금관이지만 중간 중간 옥이 달려 멋스러움을 더하면서도 오히려 소박함을 더하는 사진이 인상적이었다.
'가야'라는 나라의 이해와 가치를 이 금관을 통해 더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 유물이다.
미술사와 문화사 모두에서 주목하는 석굴암은 [석굴암 보존불은 왜 일본을 바라볼까]란 제목으로 만나게 되었다.
역사 시간에 많이 배운 문화재이기도 하고, 한국에서와 세계에서 가치를 인정하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책에 담겨있을 때 다행이라고 느꼈다. 세계가 인정한 문화재가 우리나라 것이라는 것이 자랑스럽지만, 책에서 만난 석굴암의 초기 발견 이야기는 슬픔을 주었다. 우리나라를 지배하던 일제강점기시대에 일본 사람들은 마음대로 석굴암을 파내고 주변을 정비한다는 이유로 더 보존이 힘들게 만들었다고 한다. 책에 담긴 석굴암에 올라 앉아있는 사람들의 사진을 보면서 어떤 생각으로 사진을 찍었을까 안타까움만 들었다.
아는 만큼 지키고 보존할 수 있는것이 문화이고 문화재라는 것을 다시금 느끼게 한 유물이자, 우리나라 조상들의 가치를 매길 수 없는 석조기술과 과학의 이해정도를 나타낸 역사이기에 지금이라도 보존됨에 감사함이 들었다.
이 책에 소개된 문화재 이외에도 정말 많은 유물들이 보존되고있고, 그리고 아직 땅 속에 남아있다.
기술의 발전과 미래지향적 사고도 중요하지만 현재를 만나기까지는 과거가 있었음을 잊지 않고, 문화재를 통해 내 나라의 가치를 이어나가는 사람들이 점점 많아지길 기대하게 하는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