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 이야기
니시 카나코 지음, 권남희 옮김 / 생각정거장 / 2018년 1월
평점 :
절판
오디오클립 한주 한책 서평단 빨간아로하입니다.
우리 몸속에 각인된 흰밥의 특별한 기억!
활자로 읽는 음식 맛은 3할정도 더 맛있다.
표지 앞면을 채운, 그릇에 가득 담긴 흰쌀밥은 책을 읽는 독자의 추억과 현실에 맞게 각각의 이미지로 그려지는 듯합니다. 취사가 완료된 압력솥 뚜껑을 열어 확 퍼지는 김을 입김으로 후후 불면서 흰쌀밥을 밥공기에 담습니다. 좋은 쌀로 만든 밥이 더 맛있기는 하지만 갓 지은 쌀밥도 참으로 맛있습니다. 그 쌀밥에 알맞게 익은 붉은 김치를 올려 먹는 것을 제 아이는 가장 좋아합니다. 밥을 맛있게 먹는 아이를 보면서 아, 내가 밥을 지어야 하는 이유가 저거구나 싶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 추억으로 책을 선택했습니다. 가볍게 읽기 쉬운 에세이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부담이 없었습니다.
이란에서 태어나 이집트 카이로와 일본 오사카에서 자란 니시 나가코 작가는 성장 환경이 남달라서 그런지 일본 음식에 대한 애정이 있어 보입니다. 물론, 일본 음식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음식도 그렇지만. 추억과 연계된 다양한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독자로 하여금 자신의 추억으로 초대하고 있습니다. 간간히 실려 있는 음식 관련 드로잉도 마음에 들었습니다. 전체 편집이 이렇게 되어 있다면 책에게서 눈이 안 떨어지겠네요. 다행히 중간중간에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의 '놈'이라는 단편도 좋습니다.
누구의 생각인가.
'놈'이다.
이 '놈'이란 하나코가 종종 떠올리는 '존재'였다. '신'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그 말로는 느낌이 딱 와 닿지 않는다. 어쨌든 어딘가 먼 곳, 아주 높은 곳에서 하나코가 우쭐해져서 방방 뜨지 않는지, 인간의 도리에 어긋나는 일은 하지 않는지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다.
아, 신의 존재를 저렇게 표현하다니...읽으면서 웃음이 퍼졌습니다. 목에 염증이 생겨 병원에 입원한 하나코가 회복되어 가는 과정에서 '놈'과 음식에 대한 생각의 변화가 재미있었습니다. 수술을 끝낸 엄마가 저에게 한 말씀은, 흰 쌀밥과 돼지 갈비가 드시고 싶으시는 거 였습니다. 아, 그 이야기를 들으며 엄마가 회복되는 중이구나 싶어서 안도했던 기억이 생각났습니다. 작가처럼, 음식과 관련된 추억은 끄집어 낼수록 많이 있겠구나 싶습니다. 어떤 형식으로라도 기록을 해야 겠구나 생긱이 들었습니다. 그때 느꼈던 감정이 영원히 잊혀지지 않게 말이죠.
예상대로 쉽게 읽혔습니다. 다만 아쉽게 느껴지는 지점은 일본 음식을 표현한 부분에서는 상상이 100% 되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노란띠지에 밝혔듯이 "위는 추억으로 만들어졌다"는 문구처럼, 우리나라 음식인 한식에 대한 글이라면 참으로 즐겁게 읽었겠구나 싶습니다. 뒤집어 말하면 일식에 대해 잘 아는 분이 읽으면 저보다는 잔잔한 감동이 더 있겠구나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