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리에이터를 위한 뉴스레터 발행의 모든 것 - 뉴스레터의 시작부터 구독자 급상승, 수익 발생까지!
김태헌 지음 / 비전비엔피(비전코리아) / 2022년 9월
평점 :
이메일 형태로 받아보는 콘텐츠를 부르는 뉴스레터, 생각해보니 아주 오래 전에 단체 활동을 하면서 만들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2000년 즈음에 시도했던 홍보 방법이었는데, 각각의 개인들의 이메일을 통해 단체의 소식을 이미지화해서 그 부분을 커서로 누르면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몇번의 뉴스레터 발송을 통해 온라인 홍보물을 정착시켰던 기억이 있습니다.
책 제목을 보면서 현시점에서의 뉴스레터 발행은 어떻게 하나 궁금해졌습니다. 업무분야를 홍보로 안한지 오래되니 지급 업계의 흐름을 알았으면 좋겠구나 싶기도 했습니다. 저자는 뉴스레터가 광고가 아니라 진짜 필요한 정보와 재미있는 콘텐츠를 보내주는 서비스(p.11)로 인식이 변하는 시점이라며 뉴스레터 붐이 일어나고 있다 말합니다. 이는 저자가 발행3개월 만데 구독자 1만명을 모은 경제 뉴스레터 <데일리 바이트>발행인이라는 지점에서 믿음이 가는 부분입니다. 저자는 1인 크리에이터가 발행하는 <일간 이슬아>, 전국의 빵과 빵집을 소개해하는 <빵술렌 가이드>, 마케팅의 직무에 대해 소개하는 아이보스의 <큐레터>등을 사레로 들었습니다. 이 중에서 <일간 이슬아>는 초창기 시작할 때 관련 내용을 읽고 어떤 내용을 보내기에 일간으로 뉴스레터를 보낼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한 기억이 있습니다.
국내 최대 뉴스레터 발행 플랫폼 <스티비> https://stibee.com/ 를 들어주는데 그제서야 이해가 갔습니다. 뉴스레터 1대장 <뉴닉 (NewNeek)>을 우연하게 알게되어 구독하면서 이러저러한 시사 상식을 챙기는 중이었는데..이게 같은 맥락이라는 것을 떠올리니 대충의 흐림이 잡혔습니다.
독자는 관심있는 분야의 뉴스레터를 골라 보고,
또 각 뉴스레터가 가진 감성을소비하며 만족을 느낍니다.(p.17)
도서를 읽어보면 뉴스레터 제작전에 준비해야 할 내용들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정하고 뉴스레터 시장과 독자 분석 등 외부적인 조건을 정리한 후, 세부적인 내용을 정리하면 됩니다. 이런 준비 이후에는 구독사 수를 늘릴 수 있는 방법,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 등을 자세하게 알려 줍니다. 실무자를 위한 개론서의 개념인지라 수월하게 읽게 됩니다. 다른 내용보다는 실무보다는 어떤 콘텐츠를 만드는 지가 제일 중요합니다.
#뉴스레터 #크리에어터 #비전코리아
#홍보업무 #홍보개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