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현장 컨설턴트가 알려주는, 2021 세종도서 교양 부문 우수 도서 선정
주호재 지음 / 성안당 / 2020년 9월
평점 :
4차혁명이라는 단어가 유행을 하면서 아이들에게 코딩을 가르쳐야 한다는 말이 유행처럼 떠돌아 다녔습니다. 아이들이 성장해서 컴퓨터 관련 업종에서만 일을 하는게 아닌데 아이들이 다 배워야 한다고 난리를 치는지 도통 이해가 가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몇년 있다보니 그 열풍도 사라진 듯합니다. 그래도 AI시대에 아이들이 어떤 직업을 가져야 되는지를 논하는 신문 기사는 계속 생산되고 있습니다. 창의적 특성으로 인간이 아니면 생각하지 못하는 분야를 권해주고 있습니다. 제 아이에게 이 내용을 권하려면 학부모인 저부터 배워야 하는 셈이죠.

p.21 디지털 전환이란 무엇일까?
저는 시대 구분에 대한 구분보다는 이 개념을 총괄 정리해주는 내용을 알고 싶습니다. 부분적으로 알게된 디지털 시대에 관련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총괄해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면 참으로 좋겠다 싶습니다. 교육과정으로 데이터교육을 들으면서 4차혁명보다는 DT라는 말을 더 사용한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 교육 과정을 들으면서 공부를 해야 겠구나 싶어 책을 찾기로 했습니다.
이 책은 테마_1 개념편, 테마_2 기술편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개념편은 디지털 전환 사이클로 명명한 사이클의 탄생과정에 대해, 기술편은 디지털 전환과 관련된 수 많은 기술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이라는 용어에 대한 비판이 많아지면서 디지털전환, 디지털혁신, 디지털라이제이션 등의 용어로 변경되었습니다. 디지털 전환은 물질을 정보로 바꾸는 것으로 이를 '디지털 전환 사이클'이라고 합니다.
(임기응변 혹은 기민성이라고 불리는) 능력을 확보하려면 자신이 필요한 것을 정확히 알고, 이것을 현실화 할 수 있는능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디지털 전환에서도 이 능력이 담보되지 않으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디지털 전환은... 내가 하는 일을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내가 가진 역량을 좀 더 강하고 유연하게 만들 방법을 새로 나온 기술과 연장, 전통의 도구나 일반 도구에서 찾아 쓰는 것입니다. p.129 / p.131
기술편에서는 클라우드와 빅데이터 그리고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한 설명을 하고는 마무리를 합니다. 기술에 관련된 내용을 찾는 사람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요점은, 기술편 요약(P.197)에 적힌 내용이 결론이 아닐까 싶습니다.
기술은 하나의 도구일뿐 목적이 아닙니다.
내가 하는 일을 좀 더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내가 가진 역량을 좀 더 강하고 유연하게 만들 방법을
기술에서 찾고 다음어 나가는 것이
우리가 기술에 대해 가져야 할 자세입니다.
저자는 현재 진행중인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간단하고 눈에 띄는 이정표의 역할을 하고 싶다는 희망을 서문에서 밝혔습니다.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는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기초 과정으로 한번 휘리릭 읽어보고 다음 단계를 접하면 됩니다. 저는 디지털의 개념보다는 디지털의 분석을 공부하고자 합니다. 인문전공자도 쉽사리 접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과정에 대해 자료를 더 찾아봐야 겠습니다.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4차산업혁명 #digital #transformation
#디지털전환 #데이터분석 #도서출판성안당 #클라우드 #빅데이터 #인공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