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가운데서 안티고네를 문학적 지평으로부터 
철학적 명제로 크게 부각시켰던 이는 철학자 
헤겔이었다. 크레온과 안티고네의 대립을 
국가법과 가족 권리의 알력이라고 본 헤겔은 
국가지향적이며, 정치중심적 삶을 상징하는 
크레온 맞은편에 감정과  사랑과 친족중심적 
삶을 상징하는 안티고네를 대조시켰다. 
둘 중 어느 쪽도 전적으로 정당화 혹은 
부당화 되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헤겔은 당시 
태동하던 민족주의, 국가주의의 영향으로 
크레온의 정당성을 어느 때보다 끌어올렸던 듯하다
이러한 헤겔의 해석은 이후 많은 담론을 낳았다. 
p6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