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코 나의 운명을 원망하지 않으리라 - 쇼펜하우어의 인생에 대한 조언(1851) 라이즈 포 라이프 2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김요한 옮김 / RISE(떠오름)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펜하우어에 관한 서적이 연일 베스트셀러를 기록하고 있는 가운데

쇼펜하우어의 책 <Counsels and Maxims>를

저자의 해석 없이 원서 그대로 번역한 책이 나왔다.

실제로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들의 한줄평을 보니

<쇼펜하우어의 생각인지 저자의 생각인지 헷갈린다>

<원작과 저자의 의견을 구분할 수 있도록 원작을 읽어야 할 것 같다>는

견해들이 있는데

아무래도 이러한 독자들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원작을 그대로 번역한 책이 나온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목차를 보면

고통과 행복에 대한 성찰, 행복한 삶을 추구할 때 주의점

진정한 행복의 본질은 무엇인가

고독으로부터 얻는 삶의 지혜

행복을 바란다면 먼저 불행에 대비하라

건강과 운동의 중요성

다른 사람은 나를 비추는 거울이다 등

여느 자기계발서와 다르지 않은 느낌인데,

문장도 어려운 철학서적과 달리

비교적 쉽게 읽히는 편이다.

말하자면 1851년에 나온 자기계발서인데

현대를 사는 우리들도

깊이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조언들이 담겨 있다.

행복에 대한 성찰

- 행복은 삶의 쾌락과 향락을 누리는 것이 아니라, '고통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쇼펜하우어는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은 쾌락이 아닌 고통을 근거로 삶을 대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가 말하는 행복이란 '고통 없는 상태'를 말하는데 (따라서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삶의 목표로 둘 때 그 목표는 현실적인 것이 된다고 언급한다), 많은 사람들은 쾌락을 행복이라 착각하고 쾌락을 좇다가 결국 불행해진다고 한다.

"우리가 고통 없는 상태에 있을 때, 불안해진 욕망은 현실에 없는 행복을 좇으라고 부추기고, 결국 고통을 초래하고 만다. 그렇게 되면 우리는 잃어버린 '고통 없는 상태'가 낙원이었음을 알고 후회하며 되돌릴 수 있기를 바란다."

쇼펜하우어는 사람들이 현실에 없는 행복을 좇는 이유는 시와 소설 등, 세상에는 겉모습만 화려한 위선적인 것이 가득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지금으로 말하면 SNS가 일등공신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다음과 같은 문장들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의할 것이라 생각한다. 대체로 욕망과 행복의 크기는 반비례하기 마련이고,

지금 내게 일어난 일이 좋은 일인지, 나쁜 일인지 당장 알기는 어려우므로.


"행복은 그 말 자체가 완곡한 표현으로 '행복하게 산다'는 것은 작은 불행에 의해 그럭저럭 견딜 만한 삶을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 "

(That is the true method of eudaemonology; for all eudaemonology must begin by recognizing that its very name is a euphemism, and that to live happily only means to live less unhappily—to live a tolerable life)

"불행해지지 않는 가장 확실하고 안전한 방법은 큰 행복을 기대하지 않는 것이다."

(For the safest way of not being very miserable is not to expect to be very happy.)

"우리는 쾌락, 재산, 지위, 명예 등에 대한 요구를 적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ly it is advisable to put very moderate limits upon our expectations of pleasure, possessions, rank, honor and so on;)

"어떠한 운명이 당신을 덮치더라도 지나치게 기뻐해서도, 또는 슬퍼해서도 안 된다. 이는 언제든지 당신의 운명이 바뀔 수 있으며, 무엇이 자신에게 좋고 나쁜지를 판단할 때 쉽게 속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사람이 어떤 사건으로 인해 슬퍼했지만, 나중에 그 사건이 자신에게 가장 좋은 일이었음을 알게 되거나, 반대로 큰 기쁨을 느꼈던 일이 결국 가장 큰 고통의 원인이 되었던 일이 많다. "

(Whatever fate befalls you, do not give way to great rejoicings or great lamentations; partly because all things are full of change, and your fortune may turn at any moment; partly because men are so apt to be deceived in their judgment as to what is good or bad for them. Almost every one in his turn has lamented over something which afterwards turned out to be the very best thing for him that could have happened—or rejoiced at an event which became the source of his greatest sufferings. )

나 자신과의 관계

- 자기 자신에게 의존하고 스스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사람이 가장 행복하다.

쇼펜하우어는 사람은 자기 자신 외에는 다른 사람과 완벽하게 일치할 수 없어 필연적으로 불협화음이 발생하게 마련이므로, 사람들과 접촉할 필요가 적을수록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한다.

즉, 우리는 필연적으로 고독에 익숙해져야 하며, 우리의 독립성을 유지해야 한다.

여기에서는 사람(사회)과의 관계를 '불'에 비유해서 설명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책의 곳곳에 이해를 돕기 위한 탁월한 비유들이 숨어 있다.


"나는 당신이 사회 속에서도 어느 정도 고독을 유지하는 습관을 들이기를 권한다. 사람들과 함께 있어도 어느 정도 혼자 있는 법을 배우고, 즉각적으로 당신의 생각을 말하지 않으며, 다른 사람들의 말에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기를 바란다....

이렇게 하면 당신은 겉으로는 사람들 사이에서 지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들과 함께 하는 것이 아니다. 당신과 그들의 관계는 순전히 객관적인 성격을 띨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회와 가까이 접촉할 염려가 없어지며, 사회로 인해 오염되거나 상처받는 것으로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사회는 불과 같다. 현명한 사람은 적절한 거리에서 불을 쬐지만, 어리석은 사람은 너무 가깝게 불을 쬐다가 데인다. 그리고는 멀리 도망가서 추위에 떨며 불이 뜨겁다고 불평한다. "


그밖에도 타인과의 관계 및 시대와 운명에 대한 처세 등 폐부를 찌르는 현실적 조언들이 담겨 있다.

리뷰를 작성하기 위해 두 번 정도 읽었는데, 부족한 느낌이 든다.

곁에 두고 하루에 한 장이라도 반복해서 읽으면서 곱씹어보려 한다.

"우리에게 끊임없이 일어나는 삶의 작은 불행은, 큰 불행을 견딜 수 있도록 우리를 훈련시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과의 작은 갈등, 사소한 논쟁, 부적절한 행동, 쓸데없는 소문 등 삶의 성가신 일들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아야 한다."

덧) 아래 링크에 접속하면 영어 원문을 볼 수 있다. 원문만으로 의미를 이해하기는 어려울 듯하지만, 번역본과 같이 보니 좋았다.

the_essays_of_arthur_schopenhauer__counsels_and_maxims.pdf (seducoahuila.gob.mx)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