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암은 병이 아니다]는 나에겐 정말 특별한 책이다.

최근 일고 있던 나의 암에대한 궁금증을 정말 확실히 풀어주었다고 감히 말할수 있다.

 

그동안 건강에 특히 생활습관이나 식이요법에 관심이 많은 나는 건강관련 서적을 계속 찾아 읽어오고 있다.

최근 읽었던 [몸이 원하는 장수요법 : 21세기 최적의 건강 해법]에서 처음 암이 우리를 죽이려는 것이 아니라는 이론을 접하며, 조금더 구체적인 연구결과라던가 통계자료가 궁금하던 차에 이책을 읽게 되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된것이다.

 

몸이 원하는 장수요법에서는 염증과 암의 다른점이 무엇이냐고 묻고 있었고, 염증도 우리의 몸의 오염된 혈액을 정화하는 과정이라고 역설하고 있다.

 

이책에서는 그런 이론을 아주 구체적인 연구결과나 통계자료로 우리에게 조목조목 설명해주고 있다.

특히 공감하였던 내용은 우리몸의 암조직을 수술을 통하여 제거하거나, 항암제로 축소시켰을때 결국 우리가 원하는데로 암이 사라지며 건강해지느냐는 물음이었다.

항암제로 사용되는 독으로 인해 우리 몸은 면역능력이 떨어져 사망율이 몇십배 높아진다는 통계자료는 정말 끔직하였다.

단지 암세포를 제거한다고 하여도 우리 몸이 생활습관이나 식습관 또한 마음가짐에 따라 계속하여 암은 재발하였다는 것이다.

 

암세포를 없애고 싶다면 암세포가 생기지 않게 하는것 암세포가 없어지게 하는게 맞는다는 것이다.

 

암세포는 산소가 부족한 우리몸에서 변이를 일으켜 암이 아니라면 벌써 괴사하였을 우리의 세포를 그나마 지탱하고 있는 돌연변이였다.

 

우리의 암에대한 편견과 잘못된 치료법으로 인하여 고통스럽게 암을 치료받다가 병원에서 결국 죽음에 이른 많은 사람들이 이책의 내용을 알고 있었다면 진정 그런 위험한 치료를 하였을까 궁금하였다.

 

사실 이책의 내용이 조금 충격적이어서 이책을 읽은 독자들이 모두 공감을 할지는 모르겠다.

분명 거짓이라며 믿기지 않는다며 잘못된 주장이라고 비판할 사람들이 있을것이다.

 

하지만 난 주위분들께 이책을 선물할 것이고 추천할 것이다.

적어도 암이 걸리기전에 암이 걸리지 않는 생활습관과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것만은 누구도 부정하진 못할것이다.

 

이책에 나와있는 암 환자가 피해야 할 것들은 채색주의자인 나에게도 어려운 것들이 있었다.

전자레인지는 사용하지 않고 있었지만,10시부터의 취침시간, 규직적인 식사, 일주일에 두세번 햇볕 쬐기등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것들도 많았다.

 

우리가 병에 임하는 자세는 싸워서 이기는 것이 아니라, 내가 저지른 잘못된 생활의 결과들을 몸에선 최선을 다해 정화해내고 있다는 것을 알아줄때, 그리고 잘못된 습관들을 엄추고 내몸의 노력들을 도울때 어떠한 병이든 자연스레 치유될 것 이란걸 알게되었다.  

 

암은 내몸이 이용할 수 잇는 최후의 생존 메커니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 행복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세실 앤드류스 지음, 강정임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처음 제목을 보고 협동조합에 대한 책일거라고 생각하며 서평을 신청하였다.

헌데 이책은 정말 공동체로 살아가는 우리네 삶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책의 저자는 미국사회가 돈을 쟁취하기 위한 무한 경쟁  때문에 공동체성을 상실 했다고 말한다.

그렇다 이책의 저자는 미국인으로 우리네가 읽다보면 조금은 공감되지 않는 부분이 있어 아쉬웠다.

 

하지만 기본적인 작가의 생각은 지금 전세계에 필요한 공동체의식이다.

지금의 세계속 우리는 행복한 삶을 추구하기가 어려워진 슬픈 현실속에 살고있다.

그리고 어떻게 해야 우리가 다시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 나갈 수 있는지 차근 차근 풀어가며 작가는 말한다.

 

이 책의 핵심은 유쾌하고 배려할 줄 아는 대화란 무엇인지 설명하는데 있다.

사회가 발전할수록 우리들은 타인과 직접 만나 대화대운대화를 하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지난 30년간 사람들이 함께 저녁을 먹고 카드게임을 하는 활동은 적어도 50~60% 감소했다고 말하고 있다.

공동체로 들어가기 위한 첫걸음이 바로 대화라는 것이다.

 

행복을 위한 11가지 대화의 원칙

1.생각하고 느낀것을 당당하게 말하라

2.경청하라

3.친절하라

4.열정과 에너지를 가지고 말하라

5.다른 사람을 인정하라

6.좋은질문을 하라

7.평등하라

8.당신의 이야기를 하라

9.거침없이 웃어라

10.삶을 모험이라고 느껴라

11.자유롭게 말하라

 

이러한 문화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하던 일을 멈추고 대화의 시간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많은 사람들과 윤택한 삶을 살길 원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내가 느낀 이책의 가장 중요한 메세지는

공동체는 나를 개인의 행복에서 전체의 행복까지 이끌어 갈수 있다는 것이다.

행복을 한번더 생각해 볼수 있는 시간이어서 행복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 행복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세실 앤드류스 지음, 강정임 옮김 / 한빛비즈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처음 제목을 보고 협동조합에 대한 책일거라고 생각하며 서평을 신청하였다. 헌데 이책은 정말 공동체로 살아가는 우리네 삶에 대한 내용이었다. 이책의 저자는 미국사회가 돈을 쟁취하기 위한 무한 경쟁 때문에 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