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도회 이렌 네미롭스키 선집 1
이렌 네미롭스키 지음, 이상해 옮김 / 레모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캉프 부인이 공부방에 들어오면서 문을 하도 세게 닫는 바람에 샹들리에 유리 장식들이 일제히 흔들리며 맑고 가벼운 방울 소리를 냈다. (p.9)


공부방에 들이닥치는 캉프부인의 모습으로 시작하는 이 작품은 이렌네미롭스키 선집 시리즈의 첫번 째 책 '무도회'의 첫번째 작품 '무도회'입니다. 

아직 전쟁이 없는 시대에 벼락부자가 된 부부와 그들의 딸 앙트와네트, 그 딸의 영국인 가정교사 미스 베티 그리고 그들 가족이 각각의 이유로 달가워하지 않는 친척이자 피아노 선생 이자벨을 주요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상류층'으로 편입을 목표로 하는 부부는 근사한 '무도회'를 계획하지만, 일은 그들 뜻대로 평탄하게 풀려가지 않습니다. 그들의 딸 앙트와네트는 열다섯살 처럼 보이는 열네살 소녀입니다. 가슴에 가득한 불만과, 나름 머리속에 가득찬 이야기들을 본인 마음껏 표현하지는 못하지만, 이 소녀의 활약이 엄청나다면 엄청난 결과를 불러옵니다. 

속물적인 부모, 반항심 가득한 아이 그리고 그들을 둘러싼 인물들을 묘사하는  이렌 네미롭스키의 문장은 매우 날카롭고 신랄합니다. 

이 작품집에는 '무도회' 외에도 또 다른 십대 소녀 '질베르트'가 만난 어느 여인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다른 젊은 여자', 독특하다고 할지, 이상하다고 할지 어쨌든 자신의 삶을 소신대로 살아가다가 갑자기 '인류애'를 발휘하게 되는 주인공 로즈 씨의 이야기를 풀어낸 '로즈 씨 이야기' 그리고 '아빠와 이혼한 불행한' 엄마와 결혼하지 않고 평온하게 사는 이모와 엄마의 친구들 이야기를 그려낸 '그날 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대략 이런 이야기라고 하고는 있지만, 아주 짧은 '다른 젊은 여자'를 비롯해 각각의 작품들이 주는 인상은 개별적이고 독특합니다. 특히 '로즈 씨 이야기'는 전반부를 읽는 동안 떠오른 인물이 있는데 두번째 선집-프랑스풍 조곡 '6월의 폭풍'에 등장하는 '골동품 수집가'를 겹쳐보게 됩니다. 그러나 두 인물의 결론은 아주 달라서 인상적입니다. 

마지막 작품 '그날 밤'은 결국 '누가 진정 행복한가?'라는 명제를 던지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게 진짜는 아닐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만큼 짧고 격렬한 이야기 속에 복잡한 마음들이 가득 녹아 있습니다. 


이제 두번째 #이렌네미롭스키의 작품을 읽었습니다.  모두 다 아껴읽고 싶은 작품들입니다만 읽다보면 중간에 멈추지 못하고 계속 읽게되는 매력이 있습니다. 항상, 작가의 짧은 생애가 안타깝습니다. 


#도서를제공받았습니다#무도회#이렌네미롭스키#레모 

아무도, 세상 누구도 그녀를 사랑하지 않았다... 그러니까 아무것도 못 보고 멍청하기 짝이 없는 그들은, 감히 그녀를 키운다고, 그녀를 가르친다고 주장하는 그 모든 천박하고 무식한 졸부들은 그녀가 자기들보다 천 배나 똑똑하고 재치 넘친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 P31

바로 그 순간, 손에 잡히지 않는 그 찰나의 순간, 한 사람은 올라갔고, 또 한 사람은 내려갔다. 그들은 그렇게 ‘삶의 길 위에서‘엇갈렸다. - P74

그녀는 보통 사람들이 평생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단 나흘만에 전부 써버린 것이다. - P83

그는 일종의 생존자, 옛 시대의 습관, 취향, 요구들과 더불어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하나의 종이었다. 뭔지 알 수 없었지만, 그 순간 그에게는 다른 것이 필요했다. 아마도 젊음? 하지만 그는 이제 젊지 않았다. 그는 한 번도 젊었던 적이 없었다. - P100

"오! 자네야 열일곱 살이니 그렇지. 그 나이 때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아. 삶을 사랑하지 않는다고 난 목숨을 부지 하고 싶어. 이해하겠어? 폐허로 변한 세상에 가난하고 늙은 불구자로 남는다고 해도 살고 싶단 말이야." - P114

"사실이야. 난 네가 부러워. 너희의 평화로운 생활이 부러워. 하지만... 난 풍요로웠고, 가득 채워졌었어. 그런데 너희는 아무것도 누리지 못했지." - P1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