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야기 한국 근대 문학 기행
김남일 지음 / 학고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한 국문학의 동인지 시대를 연 작가들은 애송이 소년• 청년들이었 다. 김동인과 주요한이 20세에 「창조」를 창간했고, 나머지 동 인들도 대개 다 이십 대 중반을 넘지 않았다. 평균 수명이 짧은 시대였음을 감안해도 새롭게 문학사의 기둥을 세워야 하는 막 중한 임무에 비겨선 아무래도 연륜이 짧은 게 사실이었다. 그 래도 서울의 ‘소년 문학자‘들은 못 들은 최 귀를 막았고, 폐기 하나만은 당당했다. - P127

옛것은 쇠하고, 시대는 변한다.
새 생명은 이 폐허에서 피어난다.
Das Alte stürzt, es ändert sich die Zeit,
Und neues Leben blüht aus den Ruinen. - P131

굳이 비교를 하자면, 성배 를 깨뜨린 죄책감에 시달리다가 죽은 신부의 이야기로 시작되 - P136

는 제임스 조이스의 소설 속 그 마비된 식민 도시 더블린이 서 울과 비슷한 분위기를 풍겼을지 모른다. - P137

신여성의 범위를 아무리 넓게 잡아도 실제로 그들이 전체 인 구 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들을 둘러싼 ‘담론‘은 끊이지 않았다. 다른 어떤 화제 이상으로 파급력도 강했다. 한편에서는 부러움의 시선을 던지는가 하면, 한편에서는 멸시의 시선을 던졌다. 그들이 가는 곳에는 늘 이 런 상반된 시선이 교차했다. 기본적으로는 ‘관음 8의 그것이 었다. 많은 신여성은 자신의 의사와 상관없이 오직 추문의 주 인공으로 함부로 소비되는 일이 흔했다 - P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