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리치의 일본 미학 - 경계인이 바라본 반세기
도널드 리치 지음, 박경환.윤영수 옮김 / 글항아리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인은 패턴화 된 나라에서 살고 있는 패턴화 된 사람들이다.(p.16)' 로 시작하여 ‘패턴’을 만들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일본과 일본인에 대한 에세이인 #일본의형태(1964)를 비롯해 말년에 자신의 연구를 집대성한 듯한 #일본미학소고(2007)까지 모두 스무편의 에세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그 안에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다고 생각한 ‘전형적인’ 일본의 모습도 들어있습니다. 그러나  저자의 관점을 통해 접하는 일본은 생각보다 다채롭고 새롭고 거대합니다.
'일본 전통 예술에서는 덜어낼수록 좋다고들 말한다.'(p.31) 라는 문장은 두번째 에세이 #일본영화에대한어떤정의에 나온 문장입니다. 
저자는 일본 문화에서 바로 이 '덜어냄' 혹은 '빈 공간'에 대해 수록된 글 여러 부분에서 언급합니다. 일본 경제성장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진 버블을 지나며 그 공간이 다른 것들로 채워지는 것에 대해서 아쉬움을 표합니다.
다른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상당히 적극적으로 서양문물을 받아들인 일본 사회에서 그 문화가 어떻게 나타났는지, 왜 그런 양상을 띄게 되었는지 살펴본 글들은 일본문화의 단면들을 보여줄뿐만 아니라 이방인으로써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을 함께 이야기합니다.
자동차, 키스, 패션 그리고 외부에서 영향을 받았다기 보다는 일본 고유의 유사종교와도 같은 파친코의 이야기가 그렇습니다.
이 책에서 일본영화를 다룬 에세이들이 단연 눈에 띄는데, 저자 도널드 리치는 오즈 야스지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을 서양에 알린 장본인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조금은 관념적인 글들 사이에서 영화에 대한 글은 구체적인 분석이 돋보입니다. 

마지막 글 #일본미학소고에서는 제각각 흩어져 있던 문화의 조각들이 하나로 근사하게 맞춰집니다.
듣기는 했지만 개념은 모호 했던 '와비와 사비 , 이키와 후류'에 대한 개념과 일본 문학에서 표현되는 예가 제시됩니다. 여기서 한번 더 일본인들이 변화를 바라보는 방식과 죽음을 수용하는 방식이 다뤄집니다. 의미와 관계없이 겉모습만 모방하는 게 일본문화의 특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리치의 주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결과적인 것이 그럴지언정 일본의 전통 방식은 아니라고 합니다.


저자의 입장이 #경계인( 한국과 일본 어디에도 속하지 않은 경계인)이라서 새롭게 바라보게 된 면도 있습니다.
모든 에세이가 좋지만 특히 마지막 #일본미학소고는 천천히 시간을 들여 읽어보실 것을 권합니다.
거리를 두고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이 필요하고 그래서 더욱 이 책 #도널드리치의일본미학은 읽어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도널드리치의일본미학서평단#도서협찬#도널드리치의일본미학#글항아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