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테 - 내세에서 현세로, 궁극의 구원을 향한 여행 클래식 클라우드 19
박상진 지음 / arte(아르테)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
단테가 던져주는 화두를 받아 저자가 다시 독자에게 제시합니다. 이 책을 끝까지 다 읽고 제게 남은 한 문장이고, 그동안 수도 없이 제시되고 많은 사람이 그 답을 찾고 있지만 딱 떨어지는 결코 ‘정답’은 찾지 못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번 #클래식클라우드_단테 편을 통해 만나게 된 ‘단테’는 그동안 안다고 생각했던 그 인물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거의 천년 전 사람이 실감나게 ‘사람’으로 생각되지 않았지만, 이 책을 통해 육신을 가지고 실제 공간에 존재했던 ‘사람’이라는 사실이 와 닿았습니다.

첫 장을 넘기자마자 그동안 제가 단단히 오해하고 있었음을 알았습니다. 아직 ‘신’에게 붙잡혀 있는 ‘중세’ 어디 쯤에 살았던 시인이라고, 중학생 때 읽었던 세계문학전집 작가소개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채 수십년이 지났습니다. 새롭게 알아보려는 노력도 안했습니다만 세월이 지나면서 이렇게 연구를 계속한 분들 덕분에 새로운 사실들을 알게 되는 것 아닐까 합니다.


단테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여행을 시작하는 순간에도 과연 저자의 글을 통해 살아난 ‘단테’가 오래된 시인인 그 ‘단테’일까 하는 의문이 얕은 먼지처럼 남아있었습니다. 그런데 문득, 그가 어떤 인물이었는지 정확하게 알려주는 어떤 것이 과연 있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저자가 ‘단테’의 글이 현실의 사물에 닿는 것을 깨달았고, 그래서 그의 여정을 찾아나서야만 했다는 글을 읽으면서 그래서 저는 이 책을 읽고 단테를 실존했던 인물로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저 이미지로만 인식하고 있는 거장들을 이 땅에 발붙이고 살았던 실존 인물임을 알려주는 것이 바로 이 시리즈를 계속 읽게 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정치적 알력다툼이 치열했던 피렌체에서 현실정치인으로, 학자로, 시인으로 소임을 다하던 단테가 반대세력이었던 주교에 의해 추방되고 망명생활 중에 완성한 것이 바로 <신곡>이라고 합니다. 지옥에서 연옥으로 그리고 연옥에서 천국으로의 여정은 그의 고단한 망명생활의 반영이기도 하고,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물음이기도 하며, 단테가 그 답을 찾고자 기록한 글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기독교의 위대함을 강조하기 위해 혹은 성경의 가르침을 공고히 하기 위해 쓰여진 글이라고만 생각하고 있던 저는 제대로 뒤통수를 맞은 것 같았습니다.
저자가 주석을 달아주고 있는 <신곡>은 도달하지 못할 ‘신의 세계’라기 보다는 당시 현실의 반영에 가깝습니다. 단테라는 인물이 ‘현실’을 중심에 두고 모든 의견을 펼쳐나갔던 인물이라는 점은 생각하지 못했던 면이라 더욱 인상에 남았습니다.

고전을 읽을 때마다 ‘과연 인간이 발전 했는가?’라는 질문을 하게 됩니다. ‘그 때나 지금이나 다른게 없다’라는 이야기도 많이 합니다만 과연 달라질 뭔가가 있을까요?
유전자에 대해서는 하나도 모르면서 할 소리는 아니지만, 그렇게 아귀다툼하고, 투쟁하며 이어져 온 것이 지금을 사는 우리들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는 끊임없이 생각하고 고민해야 할 문제이기도 합니다.


#클래식클라우드_단테#내세에서현세로궁극의구원을향한여행#박상진#고전#신곡#아르테

인간은 어디로 가는가. 단테를 생각하면 늘 떠오르는 화두다. 그는 이 물음을 깊이 간직했던 것 같다. 그의 삶은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찾는 길로 채워졌고, 그렇게 길을 걷는 한에서 유지되었다. 이제 우리도 길로 나선다. 그의 비장하고 우울하면서도 따스한 연민의 목소리를 마음에 들이며.(p.2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