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아메리카나 1~2 - 전2권 - 개정판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작품은 아주 단순하게 말하자면 이페멜루의 이야기입니다. 그녀를 중심으로 오빈제, 우주고모, 디케 그리고 다른 친구들의 이야기가 시간을 넘나들며 진행됩니다.
어쩌면 우리도(혹은 저도) 비슷한 제3세계 사람으로 '미국' 혹은 '영국' 등  '서구 세계'에 대한 막연한 동경을 내면화 하면서 성장한 것 같습니다.  요즘은 워낙 많은 정보가 흘러넘치고 있어서 막연한 동경은 안하겠지요. 이페멜루가 성장한 라고스의 분위기라면 가능하다면 미국이든 영국이든 꼭 가고자 했을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이페멜루가 겪은 경험들은 충격적으로 다가왔습다. 지난 8월 20일에 있었던 특강에서 작가도 말했듯이 자신의 나라인 '나이지리아'에서 '흑인' 에 대해 생각해 본 적도 없었지만, '미국'에 발을 딛는 순간 '흑인'이라는 인종으로 규정지어졌다는 이야기는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녀와 사랑에 빠지는 인물들, 친절하고 상냥한 부자 백인 커트와 신사적이고 행동하는 지성이며 미국인 흑인 예일대 교수인 블레인이 차지하고 있는 계급 혹은 위치도 눈여겨 볼만 합니다.  커트의 세계에서 이페멜루는 눈에 띄는 어떤 것, 귀하지만 동등하게 위치하지는 않는 무엇처럼 겉돕니다.  자신들은 이성적이고 진보적인 사람들이라는 허세가 지배하는 블레인의 세계에도 그녀는 안착하지 못합니다. 
이페멜루가 블로그에 쓰는 글에  작가의 생각이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했습니다.
비미국인 흑인, 미국인 흑인 , 미국인 백인, 미국인 다른 인종 등 갈래도 여러가지이지만, 비미국인 흑인인 이페멜루의 시선에서 관찰되는 그들의 문화와 행동들은 한편으로 공감이 가기도 하고, 충격적이기도 하며 서늘해 지기도 합니다. 이 작품의 매력적인 부분이면서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라고스로 돌아온 후 이페멜루는 잡지사에 취직합니다. 그러나 그녀가 하고자 했던 대부분의 일은 상사와 동료에게 차단 당하고 '미국인 같이 굴지말라'는 핀잔이 듣게 됩니다.  라고스의 사회는 아직 이페멜루의 제안을 받아들일 생각이 없습니다. 그래서 그녀는  회사를 그만두고 자신의 블로그를 만들어 간다. 다른 방식으로 삶은 계속됩니다. 
"그래도 그녀의 마음은 평화로웠다. 고향에 돌아와서. 블로그를 쓰고 있어서. 라고스를 다시 발견해서. 그녀는 마침내 자기 자신을 완전히 존재하게끔 만들었던 것이다. (아메리카나2.  p.405)"
 종종 발견하게 되는 특징적인 문장들이 있습니다. 어떤 장면에서 앞으로 인물들이 이 장면을 어떻게 기억하게 될 것이다라는 서술은 재미있었습니다. 그런 문장을 읽은 다음에는 그 장면을 계속 생각하게 되는 효과를 노리지 않았을까 했습니다.  쉽게 볼 수 없었던 형식이고, 인물들이었습다. 여전히 그들의 사랑에는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 작품을 읽은 덕 분에 알 수 없었던 세계를 조금 들여다 볼 수 있었습니다.

 

흑인 여성의 머리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가 여러가지 각도에서 매우 세세하게 이루어집니다.

이야기의 시작 또한 흑인 전문 미용실에서 머리를 땋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너무 당연하게 여겼던 '곧은 생머리'가  얼마나 좁은 생각인가 하는 것을 절감했습니다.

 

  

 

너는 무얼 하든 네가 하고 싶어서 하지. 남들이 한다는 이유로 무조건 따라 하지는 않을 사람으로 보였거든.(1권) - P107

이페멜루가 방종한 룸메이트의 따귀를 때리려고 했던 이유는 군침 흘리는 개가 그녀의 베이컨을 먹었기 때문이 아니라 그녀가 세상과 전쟁 중이었기 때문에, 아침마다 얼굴 엇는 적의 무리를 상상하며 멍든 가슴으로 잠에서 깼기 때문이다.(1권) - P253

하지만 그들은 아무것도 선택할 수 없다는 사실이 가져다주는 억압적인 무기력으로부터 탈출하고 싶은 욕구는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2권) - P87

"당신이 인종이 문제가 안 됐다고 말하는 유일한 이유는 당신이 그랬길 바랐기 때문이에요. 우리 모두 바라죠. 하지만 그건 거짓말이에요. 저는 인종이 문제가 되지 않는 나라에서 왔어요. 한 번도 스스로 흑인이라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미국에 와서 흑인이 됐죠."(2권) - P109

그래도 그녀의 마음은 평화로웠다. 고향에 돌아와서. 블로그를 쓰고 있어서. 라고스를 다시 발견해서. 그녀는 마침내 자기 자신을 완전히 존재하게끔 만들었던 것이다(2권) - P4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