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하고 게으르게
문소영 지음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속 비밀도서관'으로 익숙한 문소영 기자의 에세이 입니다

최근 에세이가 나온다고 해서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감상적이지 않은 담백한 에세이'라고 쓰다가 문득 '감상적인 것'이 꼭 나쁜가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물론, 저는 저자의 담백한 문체를 좋아합니다.

무엇에 대해 어떤 할 이야기가 있다는 것은 작은 감상혹은 한 조각의 감정이 깃들어 있어서 가만히 있지 못하고 이야기하거나 글을 쓰는 것 아닐까 합니다. 마음이 간다는 건 그런 의미라고 생각했습니다.

이 책에서는 ‘1부 게으르게부터 마지막‘6부 행복하게까지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풀어 놓습니다.  

편하게 앉아서 친구의 이야기를 듣는 것 같은 기분으로 시작했는데, 듣다 보니 허리를 곧게 펴고 자세를 바르게 하고

경청 아니 정독을 하고 있는 저를 발견하고 웃었습니다.

 

특히 프랑스 화가 질베르의 <커피 한잔>에 대한 설명은 그림을 보기 전부터 인상에 남았습니다.

 

주부나 가정부인 듯한 여인이 앞치마를 두른 채 의자에 앉아 커피를 마신다. 의자에 등을 붙이지 않았다. 커피를 마시고 얼른 다시 일을 시작해야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은 온전히 커피에게 바쳐진 시간이다. 그는 김이 모락모락 나는 커피잔에 고개를 수이고 있다. 그 짙은 갈색 수면을 바라보며 그 향기를 온전히 들이마시고 있다. 그의 얼굴에 미묘한 기쁨이 감돈다. 어떤 자의식도 없이 커피에 집중하며 바쁜 일상에서 커피 한 잔이 주는 순수한 쾌락에 빠져 있는 것이다. 그 어느 그림보다도 짙은 커피향이 느껴지는 그림이다. (p.35)

바로 다음 페이지에 이렇게 설명한 그림이 나와서 깜짝 놀랐다. 정말 그림에서 커피 향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

소설에 비해 에세이를 많이 읽어본 건 아니지만 큰 주제를 뚜렷하게 구분하는 경우가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새로웠고, 던지는 주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깊이 읽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늘 한 발은 담그고 있던 수전 손택과 작년부터 읽기 시작한 어슐러 르귄의 인용은 매우 반가웠습니다.

볼 기회가 있었으나 미뤄두었던 영화, 처음 알게 된 책과 그림 그리고 화가. 나름 큰 수확입니다.

책을 덮으면서 왠지 아직 이야기가 마무리되지 않은 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저자의 다음 에세이가 기다려집니다.

 

--

즉 예언이 단지 미래에 일어날 일을 미리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예언이 말해지는 순간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힘이 있다고 믿는 것이다. (p.42)

우리는 점점 그것에 무감각해지고 더 끔찍한 것을 구경거리로 찾는 비극을 초래할 수 있다. (p.74)

코치에게 분노의 댓글을 날리는 일은 쉬운 정의감 충족이지만, 사회 변화의 비용을 감내하는 것은 어렵고 큰 정의를 실현하는 길이다.(p.78)

사회적 차원에서의 자유와 선택의 공허함에 대한 문제, 자본이 없고 선택을 학습할 기회를 갖지 못한 사람들에게 자유가 주어져 있는데 왜 못해라고 하는 문제는

사회제도로 보완하고 해결해야 할 일이다.(p.192)

우리 주변에는 언제나 거기 있는 것이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있다. 우리는 그 당연하 것들에 대해서 냉담하다..그래서 그 당연한 것들은 슬퍼하면서 우리를 떠나버리는 것인지도 모른다.”(p.2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