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가들 -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김두식 지음 / 창비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부분은 당연히 알아야 할 일이지만, 알려고 하지 않았고, 알아볼 기회가 없었던 일들이었던 것 같다.

우리의 근대사를 돌아볼 기회를 마주하면 구멍처럼 혹은 어떤 뚜껑이 덮여 있는 것처럼 공백인 구간들이 있다.

해방직후 미군정 시기에 우리 사회가 어땠는지는 여러 방면에서 이야기를 듣기도 하고 읽기도 했지만,

실제 어떤 한 집단의 기록을 들여다 볼 일은 흔치 않은 기회가 아닐까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새롭지 않지만 새로운 것들을 많이 알 수 있었다. 저자가 프롤로그에서 밝히듯이 어지간한 역사 덕후들도 모를 이야기이지 않을까한다. 

하물며, 역사 덕후가 아닌 나는 더욱 더 알 수 없었던 이야기들이다.

놀랍다고 할지, 왜 그동안 전혀 생각하지 못했을까 하는 부분은 해방됐다고 인적자원들이 갑자기 물갈이 하듯 바뀔 수 없는 여건이었고, 일제 강점기 부터 판.검사 직을 수행하던 사람들이 계속 그 직을 수행하는 게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역시 일본인들이 떠난 자리를 메꾸는 데에도 사람은 계속 필요한 시기였다는 점을 생각해 본 적이 없었다.

이 책은 일제강점기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법조계의 역사를 따라가면서 '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을 전후하여 그 사건과 연관된 법관과 변호인단의 역사를 한 번 더 상기시킨다.

샘플 북에 수록된 부분은 4장 조선정판사 '위조지폐'사건 까지이다.

내가 착각하고 있던 것 중 하나가 바로 '개천에서 용난다'라는 속담의 적용이었다. 막연하게 어떤 제도든 예전부터 '개천'에서 ''이 나올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후 거론되는 변호인단의 면면을 살펴보는 책의 전반부에서 그런 생각이 얼마나 착각이었는가를 알 수 있었다. 꽤 충격이었지만, 재미있는 부분이기도 했다.

법관'을 임용하는 제도에서 공부를 할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신분'이 존재했다는 것은 충격이었다. ‘신분의 문제보다는 자금의 문제가 더 큰 비중이었다. 그러나 더 무섭게 느껴진 건 지금 사회도 그다지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어느 시대든 이 문제였고, 갈등을 겪고 있는 세력들도 한발만 물러나면 친일파의 돈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는 사실은 씁쓸했다.

낯선 용어들과 낯선 인물들이라 어려운 부분이 분명히 있지만, 앞서 이야기한 '공백'의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