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로버트 판타노 지음, 노지양 옮김 / 자음과모음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신의 죽음의 시기를 알고 있는 서른다섯, 젊은 소설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요?

소설가가 삶과 죽음을 허구가 아닌 경험을 어떻게 표현했을지 궁금했습니다.

더욱더 절실하게 삶을 느끼고 표현하지 않았을까요?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라는 제목은 무겁지만 궁금함을 주는 제목입니다.

 

 

내 생애 최초로, 내가 앞으로 어떻게 죽게 될지 더 이상 궁금하지 않다. 이제 알기 때문이다. 또한 내 생애 최초로 죽음에 대한 생각과 일종의 평화를 이루게 되었다. 죽는 것이 평화롭게 느껴진다는 의미가 아니라 언제 어떻게 죽게 될지를 안다는 사실과 평화를 이루었다는 것이다.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중에서

 

 

뇌종양 3기 진단을 받고, 1년 정도의 삶이 남아 있는 것을 알았을 때 평화로울 수 있다니 놀랍죠? 만약 나의 죽음의 시기를 알게 된다면 혼란스럽다는 단어가 떠오르는데요. 작가는 태어나고 죽는 것에 원리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였어요. 삶과 죽음이 필연적인 것이라고 받아들이고 있었지요. 그렇기에 죽음 앞에서 철학자가 되어 자신의 죽어가는 과정을 담담히 쓸 수 있었겠죠.

 

병을 진단받은 이후와 이 병을 겪는 과정에서 세상을 완전히 다르게 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면, 그야말로 진부하고 당연하게 들릴 것이다. (생략) 가끔은 가장 뻔하고 가장 명백한 진리를 깨닫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 될 수도 있다.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중에서

 

고군분투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감사한 일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 진부하게 들리나요? 하지만 이 진부함의 진리를 깨닫는 것이 너무 늦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느낌을 받았어요. 먹고살기도 바쁜데 곁에 있는 가족과 친구들을 나중에 챙겨야지. 핑계로 가득 찬 나에게 다시 생각하라고 하네요.

아침에 눈을 뜨고, 출근할 수 있는 곳이 있고, 집으로 돌아와 함께 음식을 나눌 수 있는 가족이 있다. 그리고 다시 따뜻한 침대로 향할 수 있다. 이런 일상들에 대해 생각하게 합니다. 매번 반복되는 일들 속에서 감사함을 찾고, 거기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내 인생의 특별한 사건들을 만들어 간다면 좀 더 나은 인생이 되지 않을까요?

후회에는 내가 더 옳거나 나은 선택을 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가정이 들어 있다. 하지만 해보지 않으면 절대 알 수 없는데 어떻게 그것이 옳은 선택이거나 그른 선택인지 판단할 수 있을까?

 

다만 죽음을 곁에 두고 씁니다 중에서

 

저자의 글에는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알지만 깊게 생각하기 싫어 넘어간 것들을 다시 들추게 합니다. 살아가고 죽어가는 것이 특별한 것이 아니라 삶에 연속이라는 생각이 들게 하네요. 죽을 때 더 크고 넓에 생각하게 하는 것이 삶에 딜레마이기도 합니다. 어려운 일들은 망설이고 슬쩍 넘기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죠. 삶이 남아 있다고 생각하면 미루게 되고 결국 잊히게 되는데요.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것이 인생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해보지 않고 후회하는 일은 없어지지 않을까요?

혹시 불행한가요, 짜증 나나요, 재미없나요, 의욕이 없나요.

자신의 삶을 넓은 시야로 보고 싶은 분들께 죽음을 앞에 두고 삶을 이야기한 젊은 소설가의 이야기 추천드려요. 좋은 글 읽고 나를 다시 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