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하는 모든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 우리의 삶을 넘어선 본질에 대한 이야기 세스 시리즈
제인 로버츠 지음, 매건 김 옮김 / 터닝페이지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이 궁금했고 어렴풋이 느끼고 있던 내용인데 어려웠다. 무언가 잡힐듯 잡히지 않는 흩어진 내용들이 하나로 모아지지 않아 잘 정리가 되지 않았다. 일부는 공감이 되다가 일부는 되지 않기도 했다.

이 책은 세스 매트리얼이라고 불리는 우리의 현실 세계 너머의 존재가 현실세계에 존재하는 제인 로버츠라는 사람의 몸을 빌려 삶과 죽음 사이에 존재하는 우리의 '내적 자아'를 일깨워주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에게 시간은 실제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의 현실은 내적 자아가 생각을 통해 창조해 낸 것이라는 것. 매 순간의 우리 선택으로 인해 그 선택된 특정 현실이 펼쳐지고, 선택되지 않은 수많은 현실 역시 다른 차원에서 존재하고 있다는 것. 내가 간절히 바라고 생각하면 그것이 현실이 되어 나타나고 내가 어떤 것을 생각하고 있으면 그 에너지가 '사념체'가 되어 그 장소에 나타난다는 것.

우리의 내적 자아는 죽는 것이 아니며 여러 삶을 윤회하며 그 곳에서 배우고 성장하며 다른 단계로 넘어가기도 한다는 것. 종교 역시 집단 의식 에너지의 집합체이며 진화는 진화론에서처럼 현실의 물질이 진화되는 것이 아니라 정신이 발전해 나가는 것이라는 것이다.

어찌보면 너무 미신같기도 해서 이 이야기에 비웃는 사람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나도 어떤 부분은 공감하고 어떤 부분은 의심의 눈으로 읽을 수밖에 없었다. 그런데 우리 내적 자아가 내는 에너지나 선택에 의해 나타나는 현실과 같은 이야기는 양자역학에서도 이야기하는 내용이다. 어쩌면 정말 맞는 이야기인지도 모른다.

신기하게도 책을 읽는 동안 내 내면에서 해결하지 못하던 불안정과 불안함이 사라졌다. 책이 내겐 어려워서 오래 읽은 편이었는데 잠시 책 내용을 잊으면 다시 떠올랐다가 책을 읽고나면 사라지는 신기한 경험을 했다.

책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왜? 도대체 우리의 '내적 자아'는 왜 존자하고 어디서 왔으며, 왜 자신이 목적으로 한 내적 에너지를 현실에 창조하면서 배우는 삶을 거치는가? 이 과정을 왜 하며, 우리를 넘어선 다른 차원의 존재들은 왜 존재하는가? 이런 의문이 해결이 되지 않아서 책이 조금은 와닿지 않은 면도 있긴 했다.

그렇지만 책을 읽고 희한하게도 안정감을 찾았으니, 그래서 이 책이 '안정'을 갈구하는 내게 지금 왔다고 생각한다. 다른 사람은 이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했을지도 궁금하다. 만약 우리가 내적 자아의 성장을 위해 이 삶을 산다면, 그야말로 삶의 물질적 집착이 다 부질없어지는 것 아닌가.

다시한번 예전에 생각했던 나의 이번 생의 '소명'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내 내적 자아가 현실에의 창조를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내적인 에너지가 내가 생각해 오던 그 '소명' 이겠지. 그게 무엇일까. 이번 생을 통해 이루고자 가지고 태어난 내 내적자아의 소명은 무엇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