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주의는 야만이다
이득재 지음 / 소나무 / 2001년 4월
평점 :
절판


책 제목의 레디컬함에 끌렸다. '야만'조차 포옹해야하는 가족이라는 '情의 도가니'가  '-주의'를 꼬리 붙였다 해서  '야만'으로 둔갑하다니? 유쾌하지 않은가? 이 발칙함에 지지를 보낸다.

국가가 마땅히 해야될 공적 역할을 개개 가족에게 전가하면서 '사회'의 영역이 사라진 '가족=국가' 형태의 국가 체제에 야유와 비판을 쏟아낸다. 인간세의 마지막 보류인 냥 '가족 사랑'을 설파하면서 그 가족은 항상 '남성가장'을 통해' 대리 통치된다. 그리고 이 가부장제가 국가 전체의 설득력 있는  이데올로기로 이용되면서 '가족같은 회사' '아버지 같은 선생님'  '아버지 같은 대통령'의 환상을 만들어 낸다. 회사의 위기는 곧 가족의 일원인 나의 위기가 되고, 나라의 위기는 곧 나의 위기가 되어 스스로 회사와 국가에 기꺼이 봉사하는 '마조히즘'의 국민이 되고 있다.

직면한 이라크 파병을 보더라도 국가는 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파병의 불가피성을 얘기 한다. '국익손실'  '북의 위협' '미국의 힘' '에너지문제' 그러나 구체적인 언어와 근거로 그 위협의 실체를 말하지 못한다. 막연한 공포와 위험만 있을 뿐이다. 오랫동안 힘에 짓눌린 우리는 '마조히즘'을 심각하게 앓고 있는 것 아닐까?

작가가 거론하는 들뢰즈와 가타리에 대한 지식 없이 읽었기에 제대로 소화를 못시킨 아쉬움이 크다. 그러나 작가가 충분히 익어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는데 막힘이 없는 상태에서 글을 썼는지 의심이 간다. 인용이 주가 되고 있는 듯한 느낌과 동어반복의 설명이 시종일관 이어진다. 작가가 부친 제목들만 빛이 난다. 설익은 밥을 왜 내가 먹고 있지? 하는 생각을 하며 어젯밤 이 책을 읽는 동안 정말 머리가 지끈거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