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고전으로 인간을 읽다 - 성경 다음으로 읽어야 할 위대한 책 25
댈러스 윌라드, 리처드 J. 포스터 외 지음, 레노바레 편집위원회 엮음, 이종인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2월
평점 :
절판


‘고전’이란 예전에 쓰인 작품으로, 시대를 뛰어넘어 변함없이 읽을 만한 가치를 지니는 것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 한다.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읽어왔고, 시대와 상관없이 앞으로도 읽힐 책에 고전이라는 단어를 붙인다.

고전은 높은 가치만큼이나 읽기가 쉽지 않고, 기독교 역사만큼 방대한 양이 있기에 ‘고전 도전’은 말처럼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고전이라는 명성 그 자체는 독서 욕구를 강하게 자극하지만, 높은 수준과 많은 양 때문에 뒷걸음질 하게 되는 것 또한 고전이라는 이름이다.

이런 난감한 상황에서 고전과 가까이 하도록 도와줄 책 한권을 발견했다. ‘기독교 고전으로 인간을 읽다’가 바로 그 책이다. 원제목(‘25 Books Every Christian Should Read’(기독교인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25권))에서 예상할 수 있듯 이 책은 기독교 고전 25권을 골라 소개한 책이다.

기대감을 갖고 책을 잡았다. 3단 책장을 그려놓은 표지가 눈에 들어온다. 자세히 보니 책장에 꽂힌 책들마다 제목이 적혀 있었는데 바로 이 책에서 소개하는 기독교 고전 25권들이다. 표지 디자인에서 책에 대해 알려주고자 하는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다음은 저자들이 관심을 끈다. 유명 기독교 작가인 달라스 윌라드와 리처드 포스터를 중심으로 한 레노바레 편집위원회에서 이 책을 엮었다. 그들의 엮음과정은 굉장히 섬세한 작업이었다. 가톨릭, 그리스정교, 개신교 등 다양한 기독교 종파의 지도자들과 사상가들에게 추천받은 400권 중 생존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 중복 추천된 횟수가 가장 많은 순서로 책들을 추려냈다. 믿을만한 사람들의 믿을만한 추천을 통한 선정이라 굉장히 신뢰가 가고, 선정된 책들 역시 고전이라 부를만한 책들임이 분명했다.

이 책에서 가장 돋보이는 것은 책의 구성이라 말할 수 있겠다. 각 장은 저자와 저서의 배경, 주요 주제들을 요약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어서 현대의 우리 그리스도인들이 이 책을 읽어야 할 이유로 ‘왜 ~는 중요한가’가 제시된다. 고전이라 읽기 쉽지 않지만 ‘~을 읽는 요령’에서 말하는 점에 주목하며 읽으며 되겠구나하는 자신감도 생긴다. 용기를 내서 책을 구입하고는 책장에 박혀있을 것을 예방할 수 있게 ‘~의 하이라이트’에서 각 고전의 핵심부분을 약간 접할 수 있다. 마음의 감동이 생기고 호기심이 생기는 책을 구입해서 보면 될 것이다. ‘~의 스터디 가이드’에는 개인이나 그룹이 책을 곱씹을 수 있도록 돕는 질문들로 채워져 있다. 그렇게 한 장이 끝나나 싶은데 마지막에 ‘내가 권하는 종교서적 베스트 5’에서 25명의 저명인들이 자신의 삶에서 주목한 책을 추천한다. 비록 고전 25권에 추천되진 않았지만 이 책들도 꽤나 주목되는 책이라는 건 분명하다. 그렇게 25권의 해설을 쉬지 않고 달려가면 마지막 부분인 부록에 다다른다. ‘추천할 만한 현대 작가’의 부록 1은 ‘내가 권하는 종교서적 베스트 5’와 선별작업 기준 밖이라 제외된 생존 작가들(톰 라이트, 존 스토트, 유진 피터슨 등)의 9명에 대한 리스트로 되어 있다. 정말 읽을 책이 가득하다.

614쪽이라는 책의 분량은 약간 부담스럽다. 하지만 저자들이 추천하듯 25개 장을 배열된 순서대로 읽을 필요도 없고(22p), 이 텍스트들에 대하여 비판하지 않는 방식으로 접근한다면(23p) 고전이 주는 풍성한 유익을 분명히 얻을 것이라 확신된다. 그 기대감과 설레임으로 읽다보면 어렵게 느껴졌던 고전도 어느새 가깝게 느껴진다.

이렇게 유익이 가득한 책이지만 좀 더 친절한 편집이 있었다면 어땠을까하는 아쉬움은 옥의 티로 발견된다. 신을 ‘하느님’이라는 단어로 표기했는데, 개신교(기독교)에서 인정하는 성경인 개역개정성경에는 ‘하나님’이라 한다. 독자들이 기독교인이라는 것을 전제한다면 명칭도 그에 맞게 했으면 어땠을까? 또한 책에 소개된 여러 책들은 개신교 출판사에서 이미 번역 출판된 책들이 상당한데 원서명 뒤에 번역 출간된 책명과 출판사 등도 함께 표기해 주었다면 어땠을까? 그렇다면 그 친절함에 감격해 책의 수준이 한껏 높아졌을 텐데 이런 점은 아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고전’과 친해지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책임은 분명하다. 기독교인들의 서재에 두고 고전을 읽기 전에 읽어도 좋고, 그냥 이 책만 처음부터 읽어가도 어느새 하나님과 더 가까워진 나를 발견할 것이다. 함께 도전해보자.

‘우리가 선정한 25권은 하나님과 생활을 영위하는 데 최고 길라잡이라고 생각되는 책이다(9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