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로 사는 이유
에버하르트 아놀드 지음, 김순현 옮김 / 비아토르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현대인들의 특징 중 하나인 개인주의. 언제부터인가 ‘인간의 존엄’과 ‘자기결정’의 가치를 중시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나 자신만을 위하는 태도’로 개인주의가 자리잡아 버렸다.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고, 몸 된 지체를 사랑하도록 부름받은 기독교에도 이런 개인주의가 깊숙이 침투한지 오래다. 많은 신앙의 선배들이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라는 계명을 뒤로한 채 나만을 위한 삶을 사는 것을 현대 기독교의 큰 문제 중 하나로 꼽고 있다.
이런 작금의 상황 속에서 사도행전 2장과 4장의 모습을 재현하고자 모인 순전한 공동체가 있다. 바로 대표적인 기독교 공동체로 알려진 ‘브루더호프’다. 현재 브루더호프는 20개 이상의 공동체를 유럽과 미국, 호주와 남미 등에 두고 있다. 여러 나라·인종·계층 출신의 구성원들이 모여, 사유재산 없이, 매일 함께 노동, 식사, 기도, 예배, 찬양을 한다.

‘공동체로 사는 이유(에버하르트 아놀드, 비아토르)’는 브루더호프의 창립자인 에버하르트 아놀드가 ‘공동체 생활을 기리며 한 고백’(54p)에 ‘해설’과 그의 ‘전기’ 등을 덧붙인 책이다. 우리는 이 작은 책을 통해 100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공동체를 이루고 살아온 브루더호프의 비결을 유추해볼 수 있음과 동시에 어떤 공동체를 만들어가야 할지 고민하게 된다.
책의 각 차례들을 순서대로 따라가 보는 것은 의미 있는 과정이다. 트라피스트 수도회 수사이자 사제인 배질 페닝턴의 「Ⅰ. 머리글」은 ‘공동체로 사는 이유’를 고백한 에버하르트 아놀드와 그의 글을 ‘해설’한 토머스 머튼의 교차점을 통해 이 책의 전반적인 밑그림을 그리도록 돕는다.
「Ⅱ. 에버하르트 아놀드의 생애」는 에버하르트 아놀드의 아내인 에미 아놀드가 썼는데, 아놀드의 짧은 전기를 기초로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역사를 함께 보여준다. ‘믿음과 경제’의 이유로 함께 하던 사람들과 결별을 하기도 하고, ‘게슈타포와 친위대, 경찰’이 브루더호프를 점령하기도 했지만 그들은 무너지지 않았다.
공동체를 향한 굳은 신념은 에버하르트 아놀드가 쓴 「Ⅲ. 공동체로 사는 이유」에 명백히 드러나 있다. 그는 공동체로 사는 삶에서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성령의 도우심을 강조한다. “인간은 하나님 없이 자신의 현재 본성만으로는 공동체를 이룰 수 없(57p)”기 때문에, 하나님께 사로잡힌 ‘믿음’이 간절하다. 또한 “성령은 모든 사람에게 서로를 위해 살고 서로를 위해 수고하는 것을 기쁨으로 삼도록 닦달하신다.(70p)”, “우리는 공동체로 살아야 한다. 기쁨과 사랑의 성령이 우리로 하여금 우리 가운데 공동체를 갖고자 하는 소원을 늘 품도록 이끄시기 때문이다.(71p)”, “인간이 임의로 결성한 동맹이 아니라 오직 성령 안에 있는 참 교회, 곧 성령의 교회만이 모든 결속과 일치의 토대이자 근본 요소다.(84p)” 도우시는 성령만이 서로를 온전히 연합하게 한다.
‘공동체로 사는 이유’의 독일어판 편집자가 밝혔듯 에버하르트 아놀드의 언어와 문체는 난해한 편이다. 때론 거친 원석처럼 느껴지는 그의 글이 토머스 머튼의 「Ⅳ. “공동체로 사는 이유”에 대한 두 편의 해설」로 비로소 제대로 이해되기 시작한다. 첫 번째 해설에서는 공동체를 인간의 사랑이 아닌 하나님의 사랑 위에 세우는 것에 대해 말한다. “아놀드가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공동체는 사람이 세우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세우신다는 것입니다. 공동체는 하나님의 작품이며, 공동체의 기초는 친목이 아니라 믿음입니다.(100p)”, “공동체를 우리의 사랑 위에 세우지 않고, 하나님의 사랑 위에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114p)” 두 번째 해설에서는 아놀드가 그 글을 쓰던 시기에 처한 환경(국가 사회주의자들과 공산주의자들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의 교훈, 즉 “성령께서 이 두 입장을 초월해 계시니, 우리도 양쪽을 넘어서(119p)” “사랑이 있는 곳에 머물러야 한다.(120p)”고 주장한다. 세상의 특정한 정치적 입장에 얽매이지 않는 성령을 쫓아 사랑으로 나아가야 한다.
「Ⅴ. 후기」에는 브루더호프 공동체의 실제 사진과 현재 브루더호프 공동체를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함께 사는 지역의 전경, 둘러 앉아 드리는 예배 현장, 결혼 예식, 노동하는 여성들, 놀이하는 아이들 등을 통해 글로만 읽었던 브루더호프의 공동체 생활을 훨씬 가깝게 느낄 수 있다. 그렇기에 이 장은 책을 처음 읽을 때 한번 보고 책장을 덮으며 한 번 더 보면 좋을 장이다.

책 전반에서 확인 가능한 브루더호프의 모습, 에버하르트 아놀드와 토머스 머튼의 가르침은 우리가 공동체로 살아가야 할 이유가 충분함을 보여준다. 하지만 다양한 상황과 여건에 따라 같이 사는 공동체를 이루지 못했다고 해서 낙심할 필요는 없다. 교회는 생활 공동체를 이루지 못했더라도, 삶을 공유하는 공동체는 될 수 있다고 나는 믿는다. 그런 교회는 아놀드의 말대로 “하나님 믿기. 서로 신뢰하기. 신뢰가 무너질 수도 있고 다시 세워질 수도 있음을 알기. 이 모든 것은 우리 삶의 한 부분(112p)”이라고 여기며 살아간다. “십자가로 차별을 분쇄(107p)”하며 부대끼는 공동체, 그런 공동체가 하나님께서 바라시는 교회 공동체가 아닐까?
같이 사는 공동체가 될 마음이 없다고 이 책을 그냥 넘겨버리기에는 이 책이 온전한 교회가 되어가는 데 중요한 본질을 너무 많이 담고 있다.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 진정한 공공체가 되기 원하는 성도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