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백년 전 악녀일기가 발견되다 내인생의책 푸른봄 문학 (돌멩이 문고) 6
돌프 페르로엔 지음, 이옥용 옮김 / 내인생의책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은 작은 여자 아이가 행동하는 점에서 너무나 당연하게 생각하는 점들이 문제였다.

 

 

이 책을 보는 순간 어떠한 이야기가 숨어 있을지 매우 궁금해 지는 책이었다.

작가의 말들을 읽으면서 나는 작은 충격을 받았다.

이 이야기는 실제 이야기들이고 등장인물들은 작가가 만들어 낸 이야기라고 했다.

그래서 일까?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온몸이 따끔거리는 기분을 느끼면서 책을 읽었다.

200년전 노예들이 있었고 그 노예들은 사람이 아니었다.

그리하여 노예들은 짐승같은 존재로 살았다.

네덜란드의 식민지 남아메리카 수리남에 살고 있는 주인공인 백인 소녀 14살 생일날부터 시작한다.

 

 

엄마 아빠의 사랑을 많이 받고 있는 마리아에게 생일날은 너무나 행복한 날이었다.

엄마의 선물과 아줌마들의 선물들을 받으면서 너무나 행복해 하는 14살 어린 여자 아이는 아빠에게 너무나 멋진 선물을 받게 되는데 큰 식탁에 노예들이 큰 쟁반을 가져오게 된다.

아빠의 선물이 바로 큰 쟁반에 들어있었는데 바로 어린 노예가 쪼그린 채 앉아 있었다.

노예 이름은 꼬꼬...

마리아는 자신의 노예가 생겨서 너무나 행복했고 어른들에게 배운대로 노예를 함부로 다루는 연습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행동들은 전혀 이상한 것이 아니고 그저 당연한 행동이었다는 것이다.

예쁜 여자 노예들은 남자들의 노리개로 살다가 다시 팔리기고 했다.

마리아 역시 꼬꼬를 팔아버리고 다른 노예를 가지게 된다.

이 책에서 나는 노예들이 얼마나 살기 싫은 생활을 했을 지 알수가 있었다.

인간들의 삶이 이렇게 비참해 질 수 있다는 사실이 그저 놀라고 무섭기까지 했다.

 

 

작가는 말한다.

200년 전에 가장 악독하고 잔인한 노예 소유자들이 바로 유대인 가족이었다는 사실을 이야기 할 때 나는 더욱 이 책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내가 알고 있는 유대인들의 이야기는 그렇지 못했기에 더욱 놀라웠다.

작가의 말 대로 우리가 잊고 있던 노예들의 이야기를 이렇게 간단하게 이야기로 말을 할 수가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아프리카에서 살았다가 노예로 잡혀온 흑인들 지금의 흑인 사회의 조상들이 바로 노예였다는 사실도 기억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그저 단순한 책인 것 같지만 사실 단순하지가 않다.

읽으면서 충격이고 읽고 나서도 충격이다.

이 책에서 아줌마들이 노예의 아이를 조용이 하는 법을 이야기 했을 때는 소름이 온 몸으로 왔다.

 

 

내가 뱃놀이 갔던 거 생각나지?

노예의 어린것이 시도 때도 없이

앙앙 울어 댔잖아....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지.

난 세 번이나 주의를 줬어.

마침내 내 인내심도 바닥이 났지.

그래서 그것을 잠시, 그것도 아주 잠시 동안

물 속에 집어 넣었어.

그러니까 그것이 완전히 조용해지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