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 2008.2 - 제6호
대한황토협회 엮음 / 대한황토협회(잡지)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황토' 책에서 느끼는 것은 아마도 한국의 정서가 물씬 풍겨난다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리고 '황토' 책은 서민들의 위한 책이라는 생각도 하게 되니 그저 반갑다고 하고 싶어진다.

여기서 종로의 피맛골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피맛골은 "말을 피하는 골목"이라는 뜻이라는 걸 처음 알았다..

옛 조선시대 종로 거리의 풍경은 오늘날과 달랐다. 대감들이 행차할 때 마다  서민들은 모두 엎드려 조아야 했다, 그래서 길을 가는 시간이 많이 소모했다고 한다. 그래서 생겨난 것이 바로 피맛골이다.

 

 

이 골목은 말 한 마리가 겨우 지나갈  정도의 좁은 골목으로 나리들과 마주치지 않고 도성으로 가는 지름길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곳에서는 서민들의 먹을 수 있는 국밥집들이 있어서 배를 채우고 막걸리 한잔으로 시름을 달랬다고 한다.

우리 조선시대의 양반과 서민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한 장면이라 생각이 든다.

종로에 대해 차근 차근 이야기가 되어있어서 좋았다.. 교보문교의 책을 보고 피맛골에 가서 밥 먹고 인사동으로 구경 가고 ,나도 남편과 아이들과 함께 이런 코스로 돌아다녔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테마 기행'이 그저 반갑게 느껴졌다. 

인사동 하면 우리나라의 문화를 변화가에서 느낄 수 있게 잘 만들어 놓은 곳이다.

대신 가격들이 비싸다는 것이 흠이다.  그래서 가서 차 한잔 하기가 겁이 난다..

그래도 종로에 가게 되면 인사동에 가서 구경을 하려 한다.



 

 

박물관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우리는 여러 가지에 대해 사실 잘 모르고 살고 있다.

이번에 소개가 된 '한국 대나무박물관'은 정말 모르고 있던 곳 이였다.

대나무박물관은 담양이라는 곳에 있다고 한다.

이 곳에서는 대나무 머리핀부터 브로치, 목걸이 운동기구 등과 함께 조선시대 말 궁중에서 사용했던 부채, 방건통 비롯해 낮죽장, 죽렴장, 채상장, 참빗장 등 여러 가지가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정말 본적 없는 것들이라 궁금하다.  더욱더 좋은 것은 대나무 체험교실에서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즐거움을 빠져든다고 하니 정말 아이들 데리고 한번 가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