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별의 목적 한국작가 미스터리문학선 1
김차애 지음 / 산다슬 / 2006년 9월
평점 :
절판


어이 없다....

내가 남자라서 그런가...

작가가 인식하는 남자라는 것은 정말 나쁜남자다...

대강 소설로서 주인공들의 행위와 생각들을 생각해보려해도 작가후기를 보면 '내 생각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면 좋겟다'라고 썼다. 간간히 나오는 남자에 대한 언급이 관념상에 머무는 인물들의 개인적 견해가 아니라 작가의 생각이란 말이 아닌가.

툭 까놓고 왜 남자만 국가를 지켜야 되나?

행복한 남자들의 죽음에 보면 '무능한 남자 때문에 여자가 피해받고~~, 위안부나 양공주를 이중적인 도덕으로 매도하고 비난하고~~'

뭐 위안부나 양공주에 대해 이중적인 잣대를 들이대어 비난해서 남자가 나쁘다 라는 건 이해할 수 있다. 뭐 보수적인 남자도 있을 것이고. 개념없는 남자도 있을 것이고.

근데 그 언급을 보면 비단 보수적인 남자만 타겟으로 한 것은 아닌것 같다라는 것이다. 핵심은 '무능한 남자들이 나라 못지켜서 여자를 구렁으로 몰아넣었다.'

나라 못지켜서 여자들이 고생했다 치자. 여자만 고생했나. 남자는 핑핑 놀았나...

그럼 여자는 나라 안지켜도 되나? 자기 한 몸도 못 지키는 여자들은 그럼 남자보다 열등한 것이 당연하겟네?

전체적인 언급을 보면 여자는 사랑받아야 되고 보호받아야 되고 약자고 등. 그런 인식이 깔려있는 것 같다. 내 생각인지 모르지만 김차애의 여자들은 아에 나쁜 남자(강간, 학대 등)거나, 무능한 남자들을 죽이는 것 같다. 피살된 남자들이 실제로 무능한지 유능한지는 안중요하다. 앞에서 말했듯이 이미 남자들은 무능했기 때문이고 피살된 남자들이 무능한 것이다. 유능한 사람도 그녀들에게 피살당하면 무능한 남자가 된다.

내가 남자들을 죽이기로 작정하고 남자들이 증오스러운데 그남자가 어떤남자인지 중요하진 않다.

마지막으로

어디 보니까 작가는 페미니스트는 아니라고 했다. 내 생각도 아닌 것 같다. 김차애의 그녀들은 되게 수동적이다. 지극히 근대적인 여성상이다. 사랑받아야하고 보호받아야하고 존중받아야하는데 안해주니까 때려잡는거다.

그냥 그런 여자들의 이야기를 극대화시켜서 마치 사이코드라마로 이해해보려고 했지만 여기저기서 남자들을 비난하고 나오는데 단지 소설속의 이야기로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차라리 감정이 절제되어 이것이 작가의 생각이구나 하는 생각이 안들었으면 좋았을텐데 아쉽다.

최근작들도 보면 작가의 인식은 일관적이다. 한치의 양보도 없다. 다양한 이야기가 있는 것은 좋은 일이니 반대하진 않지만 이야기로서 가치가 잇게끔 좀 더 다듬었으면 좋겠다. 특히 감정과잉.

일본 극우파 가 만든 교과서는 거의 채택되지 않았지만 일본 교과서의 전체적인 극우적 경향을 이끌어냈다. 김차애의 소설도 비슷한 의도를 가지고 만들진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하도 추리문단에 마초가 판을 치니...

차라리 확실한 폐미니즘을 기반으로 한 작품이 나오면 좋겠다. 그러면 격앙된 분위기는 좀 줄어들지 않을까.한다. 지금은 뭐...이론적 배경이 있는것도 아니고...

 암튼 사람마다 자기세계가 있고 각자 편한대로 세상을 보는 것이니 이 작품집에 대해 위와 같이 ›㎢鳴?욕하거나 기분나빠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냥 나름대로 다양한 관점을 갖고 이해했다고 생각해주면 좋겠다. 그녀가 기억하는 사랑 그 작품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훈민정음 암살사건
김재희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6년 7월
평점 :
품절


시나리오 작가출신이라 그런지 시나리오적 표현이 많았다.

시나리오 지문에서나 나올법한 묘사라든가...이것은 소설이므로 별로 좋단 생각은 들지 않았다.

그리고 인물이 너무 평이하고 약간은 동화적이다. 인물의 밀도가 좀 없는듯.

나중에 가면 동화적이라는 걸 확실히 느껴지는게 어처구니없을 정도로 주인공에게 사태가 유리하게 돌아간다. 정말...정말로 가볍고 재밌는 스릴러를 쓰려고 했나보다.

그래도 재밌다고 느끼는 건 스릴러의 공식이나 전개를 충실하게 재현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앞에서 말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로서 매력은 있다. 스릴러에서 가져야할 서스펜스나...흥미를 고조시키는 암호 풀이...등등.

앞에 어느 분이 말씀하셧듯. 가볍게 킬링타임용으로 보면 좋다. 이러나저러나 헤피엔딩으로 끝나는...

이것도 어찌보면 영화적 사고가 아닐까...

소설에서는 그래도 영화와는 다른 서사적 재미를 추구하는 것인데 그러기에 이 작품은 약간은 가볍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피터의 비밀
양희찬 지음 / 홍진북스(중명출판사)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책 8권을 주문하고서 처음으로 펼쳐든 책이다.

주피터의 비밀...

은근히 재밌다. 꽤 수작은 아니지만...평균 이상의 재미는 있다.

이야기는 자살한 정신과 의사 이명현의 에피소드와...이명현이 자살한 이후 그의 죽음을 ?는 기자 정상진의 에피소드로 구성‰榮?

저자가 아에 추리소설을 쓰기로 한 건 아닌 것 같다. 물론 이소설은 추리소설이다.전작을 읽어보진 않았지만 클론아이라는 작품이었고 시높을 보니 미스터리스릴러의 냄새가 나는것이...의학스릴러라는 큰 틀안에서 창작을 하는 듯 보인다. 이번 작품은 추리였고 다음 작품은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현직 의사라고 하던데 바쁜 와중에도 이만한 작품 쓰기가 쉽진 않을 것 같다.

스릴러에는 돈을 쓰지 않는 관계로 양희찬의 다음 작품이 스릴러가 아니고 추리소설이라면 꼭 보고 싶다. 기대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6-09-16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읽어보고 싶네요^^
 
2006 올해의 추리소설 - 사랑보다 아름다운 유혹
한국추리작가협회 엮음 / 산다슬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전체적으로 무난했던 작품집이었다.

뭐 일일히 촌평을 썼다가 한글과 호환이 안되서 여기다 올리지는 못하겠다.

베스트를 꼽아보자면

이수광의 <주초위왕>과 현 정의 <포말>

각자 다른 스타일로 내 취향에 딱 맞는 작품들이다.

주초위왕은 추리로 포말은 서스펜스로...

특히나 포말은 그 비극의 형상화가 아주 일품이다.

주초위왕의 미스터리와 서스펜스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다른 작품들도 이 두 작품의 호감을 깎아먹지않도록 다들 고만고만하여 결과적으로 이 작품집이 괜찮게 보이는 것 같다.

하긴 이 시리즈는 이게 처음 본 것이니 비교할 대상도 없긴 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01-05 16: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