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이미지와 문화 - 영상미디어 해부 자연.공학도서 9
김철관 지음 / 배재대학교출판지원실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서평을 쓰려고 영상이미지와 문화를 검색해보니 동일한 이름으로 많은 책이 검색되었다. 이런 류의 책이 이렇게나 많이 출간되었다니 조금 의외였다. 신방과 대학생이 아니라면 이런 책에 관심이나 갖을까 싶었기 때문이다. 사실 나도 평소엔 영상 이미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진 않았다. 그저 카메라와 밀접한 방송인들이 브라운관에 나오는 모습이 신기할 따름이었고. 저 각도로 나오려면 대체 촬영할 땐 어떤 컷으로 찍는건가, 궁금하단 생각은 해봤다. 특히나 다각도에서 여러번 이뤄지는 영화나 드라마 촬영 말이다. 그런 면에서 어느 정도 호기심을 풀어줄 수 있을 거라 여겼다. 너무 딱딱하지 않기를 바라며 책을 펼쳤다. 

 

제일 먼저 마주한 것은 친구로 보이는 세 명의 소년. 페이스 페인팅을 한 채 웃고 있는 동양과 서양의 소년들을 담은 사진이었다. 그런데 살짝 쌩뚱맞게 상반신을 노출한 채 자유롭게 미소짓는 그들의 모습을 보며, 이 때 떠오르는 일반적 이미지에 대해 말하라고 한다. 이 사진을 보고 분석하는 것이 이 책을 읽는 이유라고 말하니 왠지 그래야만 할 것 같았다. 마치 이 사진 안에 책의 의미가 다 담겼다는 늬앙스가 풍겼다.

   

책 내용은 생각한 것에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시작을 영상이미지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베이스로 미디어 기호를 점차 알려주고, 마지막으로 화면에 나타난 인물의 커뮤니케이션 등 가장 중요한 카메라와 촬영도구 등에 대해 다루고 있었다. 내가 가장 관심이 갔던 부분은 궁금했던 카메라 관련 기법과 기호학이었다. 특히 영상기호와 사회문학성에 대해서는 알면 알수록 재미있고, 더 파고 들고 싶은 매력이 존재했다. 하나를 예를 들자면, 월계관은 기표로서 '기쁨과 영광'이라는 기의를 내포하고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증오'의 상징이라고 한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고양이도 우리나라에선 영물이라며 다소 두려워하거나 멀리 하는 경향이 있는데, 일본에 가면 신성시 하고 보은하는 동물로 여기지 않나.

 

또한, 책에서 말하는 나르시시즘이 광고에 작용한다는 말 또한 동의한다. 우리는 모델과 자신이 다르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내면에 깔려있는 나르시시즘을 발동시키는 것 같다. 우리가 흔히 옷을 주문했다가 모델과 다른 기럭지나 사이즈로 반품하게 되는 것도 하나의 증거가 아닐까 싶다.

 

책을 읽기 전부터 궁금해 하던 카메라에 관해서는 조금 아쉬운 감이 없지 않았다. 이론 적으론 자세히 설명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카메라의 숏에 따라 앵글에 따라서 카메라 워크에 따라 얼마나 영상이 달라질지는 경험해 봐야 알수 있겠지만. 이론 상으론 피사체를 원하는 이미지로 영상에 담게끔 여러가지 기술로 작업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수 있었다. 하지만 아쉬운 점은 그림이 없어서 하나의 이미지로 기억할 수 없다는 점. 쉽게 인식되기보다는 긴 장을 전부 텍스트로만 봐야 한다는 점이었다. 시각적으로 가장 빠르게 인식할 수 있는 스틸 컷이 조금씩이라도 있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아쉬움이 남는 것 같다.

 

그렇다하더라도 이 책을 본 것은 오래도록 도움이 될 것 같다. 영상미디어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 것은 사실이니까. 아무튼, 자연. 공학도서를 손에 쥐게 되어 영광이었다. 굳이 말하자면 휴강 중에 예습을 하는 기분이라고 할까? 마치 교수 없이 공부할 책을 읽는 기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