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이 지우고 남은 것들 - 몽골에서 보낸 어제
김형수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람이 눈에 보이진 않지만 바람도 움직이는 물체다.

몽골은 바람의 나라다.”

 

김형수 작가가 소설 <조드> 출간 후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했었죠.

그렇게 <조드>를 쓰기 위해 10년 넘게 몽골 구석구석을 지나온 그가

<바람이 지우고 남은 것들>이란 에세이로 또 다시 우리 앞에 섰습니다.

사실,,, <조드-가난한 성자들>이 쉽게 읽히진 않을 것이란 생각이 앞섰는데,,,

에세이 첫 말 머리 한 문구가,,, 쉽사리 책을 놓지 못하게 만들더군요.

 

인간은 존재 어딘가에 자신이 아직 닿지 못한 장소를 남겨두고 있다.

그 미지의 장소에는 한 번도 실체를 본 적이 없는 각자의 영혼이 살며

영감이라 부름직한, 인간에게 신비한 능력을 주는 정신적 유성이 흘러 다닌다.

여행이란 어쩌면 그곳을 찾아가는 일인지 모른다.”

 

몽골의 초원, 바람의 나라를 여행한 작가의 이 한 마디는

에세이 전반의 중심이 돼 이끌어 갑니다.

기존 여행에세이와는 다른,,, 뭐랄까?

다큐 형식의 깊이와 서정성이 함께 존재해 있어 색다름이 존재합니다.

문명의 세계와는 달리 사막엔 가장 고요한 시간이 있다고 하죠?

부드러운 모래가 억겁의 세월로 쌓여 능선을 만들고,

간간히 스치는 바람 소리와 바람에 실려 온 몽골의 척박한 아름다움 속

우린 우리 스스로의 존재에 대한 물음을 던지게 됩니다.

생각해보면,,, 삶은 바람을 따라 쌓이고, 흐르고, 사그러지는,

하지만 사라지지 않는 그 무엇이 아닐까,,,란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광활한 몽골 초원과 열 두 폭 바람의 깊이 속 모든 것을 이해할 순 없었지만

몽골에 대한 또 다른 새로운 느낌은 공감할 수 있었음이에요.

아마,,, <바람이 지우고 남긴 것들>을 읽은 후 <조드>를 접한다면

더 각별한 느낌으로 다가오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