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 거리의 인문학자 최준영 에세이
최준영 지음 / 이지북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 쓴 글이 부끄러워 오늘도 쓴다.>

제목만 보고선 글쓰기 비법과 관련된 책이라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 책은 낮은 곳에서 소통하는 인문학 실천가 최준영이 지난 1년 동안 페이스 북에 매일 쓴 글을 묶어 만든 책이었습니다. 사실,, 그는 책 머리말에 이런 얘기를 전하고 있습니다. “글의 완성도가 높지 않다는 건 누구보다 저 자신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는 걱정하지 않습니다. 어제도 썼고, 오늘도 썼으며, 내일도 쓸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부족한 글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제 글은 지금보다 훨씬 좋아질 것이라 믿습니다.... 부끄러움은 감추면 감출수록 자라나지만 그대로 드러내놓으면 어느새 그 자리에 자신감이 자라납니다..” 그는 무슨 글을 쓸까요? 무슨 글을 썼을까요? 궁금해지더군요.

 

'거리의 인문학자', ‘거지 교수가 그의 별명이더군요. 야학에서 공부하고 검정고시로 대학에 들어간(비록 졸업장은 받지 못했지만) 가장 낮은 곳에서 인문학을 매개로 사람과 소통하고 있는 최준영, 책을 읽고, 글을 쓰고, 거리의 노숙자들과 미혼모, 교도소 사람들에게 인문학 강의를 하면서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고 있었습니다. 두 딸의 아버지이자 연로한 어머니까지 모시고사는 가장 최준영, 그 역시 그리 넉넉하고 풍족해 보이진 않았습니다. 외려 자신 역시 탁탁하게 살아가는 소시민의 모습이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낮은 곳의 사람들'을 위해 위로하고 애정을 쏟으며 웃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서 일어난 크고 작은 일들, 낮은 곳의 사람들 이야기를 꾸준히 써내려갑니다. 자신의 일상이자 그들의 이야기를 말이죠. 그리고 얘기합니다. 소박한 일이라도 꾸준히 하다 보면 세상의 반응을 받게 돼 있고, 한 줄의 좋은 문장보다 가치 있는 것은 삶의 자세라고 말이죠.

 

그렇다면 무엇이 그를 이 길로 이끌었을까요? 소외되고, 외로움에 힘들어 하고, 자신을 사랑하는 방법을 모르는 이들에게 말이죠. 그건 바로 편견으로 뭉쳐있는 이들의 마음 속 응어리를 풀어 주면서 자신 역시 희망과 마주했기 때문 아닐까요? 인문학이 사람을 위로할 수 있을까요? 인문학이 사람들의 응어리를 풀어줄 수 있을까요? 인문학이 지친 사람을 일으켜 세울 수 있을까요? 정답은 진심과 진실에 있었습니다. 사람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진실 된 소통이었습니다. 그의 글은 진심어린 소통을 얘기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소통으로, 꽁꽁 닫혀있던 빗장을 열고 다시 세상과 마주한 사람들의 마음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사람의 온기가 희망임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그게 바로 우리가 살아가는 힘임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해 주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