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보통날 - 매일매일 연애하듯 살아가는 램블부부의 결혼 만들기
조용진.조선민 지음 / 나무수 / 2011년 4월
평점 :
품절


 

결혼하려는 남자가 좀 과묵하고 진중한 사람이 좋을까? 아니면, 좀 수다스러운 듯 말이 많은 사람이 좋을까?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결혼한 사람들은 대부분 후자 쪽을 선택한다. 결혼한 후 말이 없는 사람보다는 말이 많은 사람이 훨씬 낫다는 결론을 내린다는 얘긴데,,, ,,, 미혼인 여자들에겐 나름 진중하고 과묵한 상남자에 대한 로망이 있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은가 보다. 하긴,,, 로망은 로망일 뿐일지어니라~~~란 사실을 다시금 깨닫게 해 준 책이 바로 [함께 하는 보통날]이다.

 

평생 수다 친구로 살아갈 것 같은 유쾌한 램블부부,

하지만 이 부부 역시 신혼 초 각방을 감행하는 부부싸움을 하기도 하고, 함부로 내뱉은 말로 서로 마음에 생채기를 내기도 했지만 그 둘이 잊지 않았던 건, 부부회식과 부부여행을 통한 대화를 해 나가며 서로의 편이 되어주는 수다 친구가 돼 간다. 물론 결혼을 함과 동시에 내 집 마련, 자동차 구입, 2세 계획 등등 결혼 매뉴얼에 익히 나와 있을 법한 것들을 계획을 세웠던 램블부부, 하지만 부부의 행복은 그 속에서 찾을 수 없었고, 여행을 통해 서로 결론은 바로 지금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살아가기로 합의한다. 그 길로 회사를 그만두고 결혼 8년 차 결혼 안식년을 보내기 위해 부부가 함께 백수가 된 램블 부부, 123일간 유럽자동차여행을 떠났고, 여행에서 돌아온 후 다시 회사로 복귀하지만 결국 부부 모두 회사를 관두고, 산책하는 부부란 의미를 지니고 있는 '램블부부'라는 닉네임을 짓고, '부부 프로블로거'로서 새로운 인생 모델을 설계하며 또 다른 터닝 포인트를 만들어 가고 있는 모든 노하우가 이 책에 담겨있음이다. 일상의 풍경을 친근하고 솔직하게 풀어놓은 부부의 블로그는 행복은 우리 안에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고, 결혼은 두 사람의 합의와 노력에 의해 만들어가는 것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있달까?

 

사실,,, 달콤하기만 했던 신혼 시절,,, 보통 허니문이라고 불리죠. 이런 꿈같은 시절을 오랫동안 유지하는 커플은 얼마나 될까요? 시간이 지나면서 형성되는 안정된 부부관계는 놀라운 축복이지만 서로에 대한 두근거림이 줄어드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이 아닐까 싶어요. 그런데.. 이런 감정을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제시했는데요. 일단 어렸을 때 즐겼던 놀이를 함께 즐기고, 함께 요리도 하고, 경기장에서 즐길 수 있는 야구나 농구, 축구 같은 스포츠도 관전하고, 두려운 것,,, 예를 들면 롤러코스터나 유령의 집 같은 놀이기구에 도전하는 것도 좋고, 간지럼 태우기도,, 서로에 대한 두근거림, 사랑을 샘솟게 하는 하나의 방법이란 얘길 하고 있더라구요. 이 모든 것의 공통점이 뭘까요? 연애시절이 떠오르지 않으세요?

함께 있는 시간이 행복하고, 헤어짐이 아쉽고, 서로를 좀 더 알아가려 노력했던 그 시간으로 돌아가 함께 대화하고, 같이 즐길 수 있는 시간을 보내는 것,,, 꿀처럼 달콤한 관계로의 회복은 서로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는 것,,, 그게 정답임을 아마도 <함께하는 보통날>을 읽다보면 더 빨리 캐치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