딜러리엄
로렌 올리버 지음, 조우형 옮김 / 북폴리오 / 2012년 4월
평점 :
절판


암울한 미래,,, 디스토피아의 세계에선 사랑이란 감정을 경계한다. ? 사랑을 병으로 간주하고 있었던 것일까? 전쟁과 폭격으로 폐허가 된 지구,,, 새로운 정부는 사랑이란 병(일명 델리아)이 걸리기 전, 18세 이전의 소년, 소녀들에게 수술을 통해 감정 자체를 통제하려한다. 그리고 정부가 지정한 상대와 결혼을 하고 정해진 직업에 종사를 해야하는 것,,,

 

레나 할로웨이 역시 18세를 얼마 남겨두고 있지 않다. 델리아로 자살한 엄마, 델리아로 남자와 사랑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하다 치료 후 결혼해 지금은 덤덤하게, 아무 느낌없이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언니,, 레나는 스스로를 믿지 못한다. 그리고 그 불안함은 정부의 치료를 받고 국가의 관리 보호 대상이 되어 안정적인 삶을 누리고 싶어 한다. 하지만 치료일이 눈앞에 다가온 어느 날 눈에 들어온 소년 알렉스’ , 부정을 해도, 거부를 해도 그녀가 보고 또 믿어 왔던 세상은 무너져 내리기 시작한다.

 

치료 후에 나는 행복하고 안전해질 것이다. 영원히. 과학자들도, 언니도, 캐럴 이모도 그렇게 말했다. 치료 후 나는 평가자들이 선정한 파트너와 짝 지워지게 될 것이다. 그러곤 수년 안으로 그 사람과 결혼하게 되겠지. 요즘 들어 결혼식 꿈을 꾸곤 한다. 꿈속에서 나는 머리를 꽃으로 장식한 채 하얀 처마 아래 서 있다. 나는 누군가와 손을 잡고 있는데, 얼굴을 보려고만 하면 카메라가 초점을 잃어버린 것처럼 이내 뿌옇게 흐려지고 만다. 그래서 나는 도저히 그 사람을 알아볼 수 없다. 하지만 내가 잡고 있는 손은 차갑고 건조하며, 내 심장은 차분히 뛰고 있다. 그렇게 꿈속에서 나는 확신하는 것이다. 내 심장은 영원히 이 박자를 유지할 거라는 사실을. 거세게 뛰거나 박자를 건너뛰지 않고, 소용돌이치거나 더 빨라지는 일도 없이, 지금처럼 이렇게 두근, 두근, 두근. 내가 죽을 때까지. 안전하게, 절대로 고통 같은 것은 받지 않는 채. - 7

 

두근두근두근,,, 극도로 억압된 통제사회에서 스스로를 믿지 못하는 소녀 레나,,, 그리고 어느 순간 다가온 알렉스, 레나는 알렉스에 대한 감정을 부정하지만, 어느새 알렉스는 레나의 마음 속에 자리 잡고, 알렉스가 자신이 속해 있는 도시가 아닌 도시 너머 평야에서 넘어 온 자유인이란 사실을 알게 되고 더더욱 혼란에 빠져든다. 그리고 알렉스를 통해 듣게 된 엄마에 대한 진실,,, 레나는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

 

어느 시대든,,, 젊은이들에게 사랑이란 열병은 참으로 뜨겁디뜨거운 화력 센 불길 같다. 그래서 미래 사회 정부는 사랑을 열병으로 규정했을까? 생애 단 한 번의 선물 같은 사랑을 차단하면 사람들의 열정과 꿈을 차단할 수 있을 거라 생각했을까? 그렇다면 미래 정부는 똑똑한 선택을 했을지 모르겠다. 사랑이란 열병을 지나치고 나면 냉철해지는 인간의 본성을 잘 파악했음이니 말이다. 하지만 똑똑한 선택이었을지언정, 그 사랑이란 놈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에게, 예고 없이 들이닥칠 수 있음을 간과했음이니 말이다. 레나, 알렉스, 레나의 엄마,,, 이어질 시리즈에선 어떤 일들이 펼쳐질 것인지,,, ,,, 기다려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