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닮은 집, 세상을 담은 집 - 사회를 비추는 거울, 집의 역사를 말하다
서윤영 지음 / 서해문집 / 201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어떤 생각이 먼저 드는지 묻고 싶다.

집은 사람이나 동물이 추위, 더위, 비바람 따위를 막고 그 속에 들어 살기 위하여 지은 건물을 일컫는 말이다.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한 장소로서의 집을 가장 먼저 떠올리게 된다는 얘기다. 저자 서윤영은 첫 머리에서 사회현상으로서의 건축인 집, 인류 전체의 주거문화를 아우르는 보편성에서의 집 그리고 건축에 영향을 준 건축 외적인 요소들로서의 집에 관심을 두고 저술했다는 밝히며 이야기를 풀어간다. 집이란 외적인 요소를 통해 인간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를 얘기하고 있다.

 

사실 새나 개미, 벌 등의 곤충은 집을 짓고 살지만, 지능이 높고 복잡한 사회생활을 한다고 알려진 영장류는 집을 짓지 않는다고 한다. 인간만 빼놓고,, 그렇다면 인간은 왜 집을 짓고 사는 것일까? 저자는 인간의 출산과 양육을 그 이유로 꼽고 있다. 그리고 집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고, 문명을 만들어가며, 번영해 간다.

 

사실 그간 건축의 역사에 대해 쓴 글들은 꽤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 하지만 <사람을 닮은 집, 세상을 담은 집>에선 건축의 역사 외에 사회를 비추는 거울로서의 집의 역사를 얘기하고 있고 단순히 건축의 미학을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소박한 보금자리에서 평생 땀 흘려 일궈야하는 꿈이란 형태에서의 집을 통해 우리네 삶의 변화를 얘기하고 있다. 건축형태를 결정짓는 원인 속에서 시대 담론을 얘기하며 인간의 욕망을 함께 풀어가고 있다. 그저 그런 건축학 역사서가 아니란 얘기다. 하지만 결단코 어렵지 않게 풀어가는 그녀만의 방식이 읽는 이로 하여금 뒷장을 넘기는 재미가 쏠쏠하게 주고 있다.

 

어느 누가 가르쳐 주지 않아도 인간은 본능적으로 재료를 끌어 모아 구조체를 세우고 옷가지나 이불, 천막을 덮어 움막을 짓고, 나무에 생명을 불어넣어 인간을 창조했다고 전해지는 북유럽 신화 속에 등장하는 건축공사의 주요 재료인 흙과 나무, 취사와 난방, 목욕 기능까지 담당했던 우리네 부엌이란 공간, 가장 으뜸 공간인 마당이 사라지고 중성적인 무성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시대 우리의 주거 문화,,,를 통해 삶의 보금자리인 집의 정체를 벗겨간다.

 

분명 건축의 역사를 통해 건축의 미학과 기술발달이란 측면이 제시돼 있지만,,,

<사람을 닮은 집, 세상을 담은 집>엔 우리 사회의 이면(인간의 욕망, 체제에 순응해 발전하는 건축양식, 소박한 집이 아닌 원대한 꿈이 돼 버린 집) 이 담겨 있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그 점이 이 책을 주목하게 만드는 제일 큰 이유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