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1894년 여름 - 오스트리아인 헤세-바르텍의 여행기
에른스트 폰 헤세-바르텍 지음, 정현규 옮김, 한철호 감수 / 책과함께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 일주를 하던 오스트리아인 에른스트폰 헤세-바르테는

1894년 여름, 국제정세는 물론 국내(우리나라) 정세가 요동치던 그 시기, 일본을 떠나 ‘고요한 아침의 나라’ 조선으로 여행을 시도한다. 조선 농민들의 정부에 대한 봉기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났고, 동아시아 강대국 일본과 중국은 조선을 차지하기 위해 야욕을 드러내며 호시탐탐 기회만 엿보고 자신이 주인인양 행세를 했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적 개혁인 갑오개혁까지 굵직굵직한 회오리에 휘말린 조선을 여행하면서 보고 들은 바를 이듬해 독일에서 정리해 낸 책이라는 사실만으로도 호기심을 유발되지 않는가? 격변기, 이방인의 눈에 비춰진 조선은 어떠하였을까?

 

사실,,, 역사적인 사건 전개를 원한다면 이 책에 대한 흥미는 다소 떨어질른지도 모르겠다. 책의 전반적인 서술 형태는 그 당시 우리네 삶, 생활사에 대한 정리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전체적으로 당시 조선의 제도와 문물에 대한 종합보고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고나 할까? 그런 만큼 사료적 가치도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보통 우리네 역사서들이 그렇듯이 모든 역사서는 강자의 역사이자, 지배자들의 정치사로, 권력과 암투, 뺏고 뺏기는 정치사에 익숙했다면 말이다. 이 책은 이방인의 눈에 비춰진 우리의 모습과 현실과 그의 느낌이 그대로 담겨있다.

 

나가사키 항을 출발해 부산에 도착한 헤세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세상의 그 어떤 곳에서도 조선의 이곳에서처럼 형언할 수 없는 슬픈 인상을 받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마도 그가 가지고 있던 조선에 대한 선입견, 일테면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나라라든지, 카톨릭 신부를 배척했다든지,, 등등,,, 이러한 부분들이 존재했기에 부산 바다가 그리도 슬펐던 것은 아닐까 짐작해본다. 암튼 부산을 벗어나 동래 인근을 둘러보고, 제물포와 강화, 서울, 한강을 둘러보지만 조선에 대한 묘사는 참으로 초라하기 그지없었다.(사실,, 우리 산천에 대한 아름다움은 자부심을 갖고 있었는데 말이다. 쩝,,, 정돈된 것을 좋아하는 개인적 취향 때문이었을까? ^^;;;) 그리고 이와 함께 어찌 보면 우리의 굴욕적인 부분이나 일본이나 중국에 지배당하고 있는 현실을 묘사함에 있어선 조금 불편할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그것이 우리의 현실이었고, 한편으론 아주 예리한 그의 시선이 우리의 겉모습이 아닌 곪아터진 속까지 들여다보고 있는 듯 싶어 놀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다.(남존여비 사상도 말이다.) 낯선 이방인조차 피폐한 민생이 탐욕스럽고 돈에 굶주린 양심 없는 정부와 부패로 찌든 관리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묘사, 짐작하고 있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이와 함께 중국인이나 일본인과는 다른 조선인의 건장함, 조선 여인들의 건강함과 부지런함, 조선인 내면의 진정성과, 한글 문자에 대한 호의, 그리고 전쟁을 통해 잠에서 깨어난 조선이 동아시아 열강들 사이 경쟁심에 의해 아름답고 부유한 나라가 앞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더 이상 방해되지 않길 바랄 뿐이라며 자신의 글을 마무리하고 있다. 그 당시에도 우리의 잠재력은 이방인의 눈에도 그리 강하게 비춰진 모양이다.

 

사상, 문화, 역사, 생활사가 다른 이방인이 그야말로 휘~ 한 바퀴 조선을 둘러보았다.

그의 여행기로 우리네 삶을 이해할 순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의 여행기가 우리네 삶을 이해하고 있다고 할 수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다층적인 시각에서 이방인들 눈에 비친 조선의 모습을 통해, 지금을 돌아봐야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삶은 계속되고 있고, 앞으로 100년 후의 우리의 모습이 이방인의 눈에 어떻게 비춰질른지는 미지수일 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