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가슴을 다시 뛰게 할 잊혀진 질문 - 절망의 한복판에서 부르는 차동엽 신부의 생의 찬가
차동엽 지음 / 명진출판사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봄비가 내리고 있다.

봄이 오는 길목,,, 한 권의 책이 던진 묵직한 질문들이 참으로 무수히 쏟아지는구나.

내 가슴을 다시 뛰게 할 잊혀진 질문들,,, 차동엽, 노르베르또 신부는 관악산 기슭 달동네 난곡에서 알콜중독자 아버지 밑에서 초등학교 4학년 때부터 지게로 연탄 배달을 하며 어렵게 공고에 진학 공부했고, 서울대 공과대학 기계공학과에 들어갔지만, 기계를 발명해 편리한 세상을 만드는 것보다 세상의 진정한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고 싶어 사제의 길로 접어들었다 한다. 사람을 살리는 일은 사람들에게 살아갈 이유,, 즉 희망을 갖게 하는 것을 평생의 미션으로 삼으면서 말이다. 사실,,, 종교적인 색채가 짙으면 어쩌나,, 싶어 선뜻 손이 가지 않았던 책이었으나,,, 1987년 죽음을 앞두고 작성된 고 이병철 회장의 질문에 대한 답이라니,,, 호기심을 자극했음이다. 삼성그룹의 창업자인 그가 절두산 성당 박희봉 신부에게 보낸 질문지라니 말이다. 생의 한 가운데 내 존재의 이유, 내 인생의 고달픔의 이유, 내 시련의 몫은 도대체 왜? 잊으려 해도 잊히지 않는, 묻으려 해도 묻히지 않는, 잊혀진 질문들을 통해 사람은 어디에서 온 존재인가? 나는 누구인가? 나는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 언제일지 모를 죽음을 어떻게 준비해야하는가? 죽음에 직면한 대기업 회장이 마지막 순간에 떠올린 질문들,, 그리고 답을 찾지 못한 이야기들,,, 얘기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어느 누구 이에 대한 해답을 내놓을 수 있단 말인가? 그러했기에 선뜻, 누구도, 답을 제시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차동엽 신부가 집어 들었다. 왜? 그가 살아가는 평생의 미션이 바라 사람들에게 살아갈 이유를 갖게 하는 것, 희망을 갖게 하는 것이라 하지 않는가? 그게 바로 답의 시작이자, 답의 마지막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차동엽 신부는 고 이병철 회장의 질문을 오랜 시간 인간이 살아가면서 가질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물음을 Big Q와 동시대인의 가슴에서 터져 나오는 물음을 Real Q로 나뉘어 질문을 던지고 답을 제시하고 있다. 물론 정답이나 해답일 순 없다. 하지만 스스로에게 던져진 질문을 통해 답을 구해보고, 변화할 순 있을 테니 말이다.

 

 

“왜 나에게만?” 누구나 이런 한탄을 해 봤을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왜 나에게만이 아닌,, 누구나에게 닥칠 수 있는 문제가 나에게도 닥친 것이다. 그리고 그런 문제에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것이다. 현실 속에서 경험하는 혹독함이나 고통은, 성장하기 위한 과정에 지나지 않는다. 인생에 있어서 괴로운 경험은 왜 이리 복잡한 것일까? 이 세계는 왜 나에게만 불공평할까? 하지만 고통, 출구 없는 암울한 현실, 두려움, 불안, 분노, 노여움이 다가올지,, 아니면 강력한 희망, 꿈, 긍정적인 마음, 균형 있는 안목이 다가올지는 ,,, 선택의 권리는 나에게 있다는 얘기다. 다른 사람이 가져오는 변화나 더 좋은 시기를 기다리기만 한다면 결국 변화는 오지 않을 것이다. 우리 자신이 바로 우리가 기다리던 사람들이고, 우리 자신이 바로 우리가 찾는 변화일 테니 말이다. 물론,,, 이것을 깨닫기까지 삶의 전부가 필요할른지도 모르겠지만,,,

 

“청춘이든 노년이든, 누구에게나 오늘이 있습니다. 오늘은 매일 새롭게 주어지는 새로운 시작의 기회입니다. 지금 우리 앞에는 불만거리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을 수 있습니다. 학교, 직장, 집, 가족, 친구 중 못내 아쉬움을 남기는 일이 생겼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오늘’이 다시 주어졌습니다. 이 오늘은 매일 주어지는 ‘덤’입니다. ‘오늘’이야말로 환경을 바꾸고 새로운 모험을 감행하고, 주어진 것을 만끽할 무제한의 가능성인 것입니다. 오늘은 오늘의 오늘이 있고, 내일은 내일의 오늘이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새로운 오늘이 매일 주어질 터이니, 더는 꿈을 이룰 기회가 없다고 누가 단정할 수 있겠습니까.” - 356쪽

 

 

어디서 들은 듯한, 어디서 읽은 듯한, 어디서 경험한 듯한,, 이야기들은 우리의 가슴을 칩니다. 왜일까요? 그것은 분명히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 이야기를 자신이 가진 견해와 사상을 통해 흔들림 없는 태도로 변하지 않는 신념을 표현했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신념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신념을 갖고 피력할 수 있는 이가 얼마나 될까요? 하지만 그는 분명 신념을 갖고 우리에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정치, 종교, 문화, 사회를 떠나 자신만의 신념으로 가슴 뛰게 할 잊혀진 질문에 희망으로 답하고 있습니다. 그것 하나만으로 얘기할 수 있지 않을까요? 그가 인생을 건 절대적인 신념이자 깨달음인 잊혀진 질문의 답,,, 희망이 주는 세상의 울림을,,, 우린 외면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