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다리는 부모가 아이를 꿈꾸게 한다 - 따뜻한 마음으로 기다려준다면, 아이는 스스로 자란다
이영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참,, 제목만큼이나 다감한 좋은 부모 교과서를 이 책으로 지정하면 좋을 것 같단 생각이 처음 들었다. 가르치려 들지 않고, 긍정적으로, 아이들의 생각에 눈높이를 맞추고, 고민하는 엄마이자 저자인 이영미씨의 모습은(물론 보통 엄마들 눈엔 무심해 보인다 할 수도 있겠지만) 아이들이 그리는 로망 그 자체 엄마의 모습이랄까? 음,, 물론 그녀의 두 딸 예슬이와 정빈이가 고스란히 수긍할지는 모르겠지만,, 아마도 책 속 그대로의 아이들이라면 엄지 손가락 치켜세우며 “울 엄마 최고”를 외치지 않을까?

 

엄마의 기다림은 첫 페이지부터 시작된다.

아이들과 함께 바닷가로 여행을 떠난 엄마,,, 산책삼아 간 바닷가 길목엔 자판기가 있었고 큰 아이인 예슬인 율무차, 작은 아이 정빈이는 코코아를 한 잔 뽑아든다. 별 생각 없이 몇 걸음 걸어간 엄마,,, 하지만 곁엔 작은 아이 정빈이가 없었다. 코코아를 마시느라 자판기 부근에서 걸음을 떼지 못하고 있었던 것, 엄마는 끝없이 펼쳐져 있을 모래사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할 생각을 하니 마음이 조급해졌고, 코코아를 마시고 있는 그 몇 분이 지루하게 느껴질 즈음 코코아에 코를 박은 듯 몰입하고 행복해 하는 정빈이의 모습에서 아이들과 함께 가는 길엔 많은 기다림이 필요하단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는 엄마 이영미씨의 모습에서 그 첫 기다림이 시작되고 엄마의 깨달음이 시작된다. 열매를 맺기 위한 기다림이란 영양분의 필요성을 말이다.

 

“아이보다 딱 한 걸음만 앞서가자. 그리고 기다려주자.”

 

사실,,, 아이를 기를 때 기다리지 못하고 바로 말하고, 바로 꾸짖고, 바로 행동하는,,, 부모의 모습이 바로 스스로의 모습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을 것이다. (두 아이의 엄마인 울 막내동생 역시 - -;;; 그러하니 말이다.) 하지만 아이들은 부모가 따뜻한 마음으로만 기다려 준다면 스스로 생각하고, 자신이 느낀 것을 충분히 표현하고, 자연스럽게 부모의 거울이 되어감을 알려주고 있다.

 

“교육이란 아이의 머릿속에 씨앗을 심어주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씨앗을 자라게 해 주는 것이다. -칼릴 지브란-”

 

아이의 마음 속 씨앗에 행복이란 물을 주고, 기다림이란 즐거운 시간을 통해 싹이 트고, 자라는 아이들이란 열매를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아이들은 부모에게 가장 지극한 보물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부모는 행복이란 물을 줘야하는 역할 대신,, 무조건 싹을 틔워야 한다, 쑥쑥 자라야 한다, 열매 맺어야 한다,,,를 강요만 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저자 이영미씨의 예슬이와 정빈이를 향한 사랑은 아이들의 생각을 통해, 아이들의 온화함을 통해, 정빈이의 엉뚱한 상상을 통해 발현된다. 꽤 많은 미소를 짓게 만들면서 말이다. 믿음은 아이를 꿈꾸게 하고, 아이는 부모를 꿈꾸게 한다. 책을 덮고 난 뒤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아이를 자유롭게 키우고픈, 아이를 정서적으로 키우고픈, 아이를 따뜻하게 키우고픈, 아이를 아름답게 키우고픈, 아이를 제대로 키우고픈 부모들의 필독서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