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오스틴의 비망록 - <오만과 편견>보다 사랑스런
시리 제임스 지음, 이경아 옮김 / 좋은생각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이름만으로도 존재감을 주는, 19세기에서 20세기까지 역사 한가운데서
세상을 향해 주저 없이 자신의 목소리를 냈던 제인 오스틴,,,
평생 독신으로 산 그녀만큼 사랑과 결혼을
작품의 단골 소재로 삼은 작가도 드물지 않을까 싶다.
평생 단 한명의 남자와 운명적 사랑에 빠졌지만 해피엔딩 아니었기 때문에
소설 속 주인공들은 해피엔딩을 맞게 했다는 해석이 많은 그녀의 작품,,,
아마,,, 사랑에 대한 그녀의 염원이 창작의 원동력이 아니었을까?

많은 작품들이 영화화 됐던 그녀의 작품과 함께 그녀에 대한 관심 역시 끊이지 않고 있어
그녀의 인생을 다룬 영화나 소설도 꽤나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시리 제임스의 <제인 오스틴의 비망록>은
평생 단 한명의 남자와 운명적인 사랑에 빠진 그 순간을 그린 소설이다.
여섯 권의 소설을 발표한 그녀는 본인 스스로도 인정하듯 편지 중독자였다.
상당수 잘 보존돼 있는 편지는 그녀의 사고방식과 성격, 사생활을 알려주는
소중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독 제인 오스틴의 비망록이나 일기는 발견되지 않았는데,,,
소설은 제인 오스틴의 집인 초튼매너하우스의 지붕을 수리하다 발견된
낡은 함에서 발견된 오래된 원고,, 그녀의 비망록에서 출발한다.
(늠 낭만적이지 않나? 넓은 다락 한 구석 벽 뒤 벽돌로 묻어 놓은 수병의 낡은 함이라니,,
퀘퀘한 먼지로 뒤덮힌 낡은 함을 연 순간 발견된 원고 뭉치, 그리고 제인 오스틴의 필체)

사실과 허구를 적절히 섞어 놓은 시리 제임스의 소설 <제인 오스틴의 비망록>은
제인 오스틴의 소설 <오만과 편견>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 하다.

친구 빙리를 따라 우연히 베넷 가의 무도회에 참석하게 된 다아시경이
리즈와 마주치면서 오해와 편견으로 겪게 되는 사랑의 과정은
제인과 에시포드의 사랑의 시간들과 함께 제인 오스틴의 소설로 다시금 태어난다.
오해하고,헤어지고,갈등하고,그러다 다시 만나 사랑하고,,,
빤한 얘기지만 그 빤한 사랑 타령은 언제 읽어도, 언제 보아도,,,
아릿하고, 간절한 떨림이 느껴진다.
200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말이다. 
 

그녀의 소설들은,,,왜 이토록 사랑을 받을까?
그것은 바로 “공감”이란 강한 끈이 존재하기 때문 아닐까?
에피소드들 사이에 숨겨져 있는 많은 감정적 오해와 갈등,,
그리고 사랑의 완성이 바로 우리를 그녀에게 빠지게 만드는 가장 강한 마력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