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 명의 백인 신부
짐 퍼커스 지음, 고정아 옮김 / 바다출판사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1854년 포트 래러미에서 열린 평화 회담에서 북구 샤이엔 족의 이름 높은 족장이
미국 군당국에게 자기 부족의 젊은 전사들에게 천 명의 백인 신부를 선물로 달라고
요청한다. 샤이엔 사회는 아이들이 어머니 부족에 소속되는 모계사회였기에
이를 통해 자신들이 백인 세계에 통합될 수 있으리라 여긴 것이다.
아메리카 원주민은 1854년 이미 그 위협적인 백인 세계에는
자신들의 자리가 없다는 것을 똑똑히 알았다. 말할 필요도 없이 백인 당국은
샤이엔 족의 요청을 들은 척도 하지 않았고, 평화회담은 결렬되었다.
샤이엔 족은 돌아갔고 백인 신부는 가지 않았다...
여기까지가 실제 역사적 사건이다.

하지만,,, 짐 퍼거스의 소설 [천명의 백인 신부]에선,,,
샤이엔 족의 온화한 주술 대족장 '리틀 울프'와 미국 대통령 율리시즈 S 그랜트의
평화회담 후,,(물론 리틀 울프의 천명의 백인 신부 얘기에 대통령 부인이 기절하는 등
논란이 심히 일었지만) BFI(Brides for Indians)=인디언 신부 계획이라는 미명 아래
너그러운 신부 선물로 미개인들을 달래고 교회와 협력해
고귀한 미국 여성이 샤이엔 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야만 생활에서 문명 생활로 이끌어 낼 것이라는 믿음 아래
대담한 실험에 참가하는 자원자를 모집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서두부터 흥미진진,,, 역사적 사실을 매력적인 소설로 풀어놓은 [천명의 백인신부],
소설은 허구란 사실을 알면서도 왠지 실제 일어난 듯한 착각에 빠져들게 한다.
그만큼 인디언 신부 계획에 자원한 메이 도드의 일기에 심취해 버리기 때문일 것이다.

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신분적 격차가 있는 이를 사랑했던 메이 도드,,,
하지만,,, 아버지의 음모로 신경장애로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고
병원 탈출 계획으로 인디언 신부 계획에 자원한다.
소설은 인디언 신부 계획에 자원하면서 쓰기 시작한
메이 도드의 일기 형식의 글로 구술된다.
당국은 은밀한 계획 속에 1차로 47명의 백인 신부들을 보내게 되는데,,,
지원한 여자들의 이력과 이유는 천차만별이다.
정신병원에 수용돼 있던 메이 도드와 세라, 그리고 메이 도드의 단짝 간호사였던 마사,
화가 출신으로 새를 연구하는 헬렌(그녀는 연구 겸 연구비 조달을 위해 지원),
매춘과 절도로 10년 형을 선고 받은 쌍둥이 자매 마거릿과 수전,
결혼이 하고 싶었으나 감자얼굴이란 별명을 갖고 있었던 스위스 출신의 그레첸,
자유를 갈망했던 아프리카 최고 전사 부족 피미,,,
각자의 아픔을 지닌 채,, 그들은 두려움과 불안을 안고 그곳으로 향한다.
메이 도드는 그녀들의 호송관인 하지만 약혼자가 있는 존 버크 대위와
사랑에 빠지게 되지만, 처음 약속대로 인디언의 아내, 바로 족장 리틀 울프의 아내가 된다.
그리고 이어진 인디언들의 삶,,,
문명화된 사회에서 살던 여인들은 자신들이 미개인이라 부르던 집단에 들어가
그들을 문명화시키리라 여기지만,,,
반대로 자유롭고 민주적이며 평화로운 그들의 삶 속에 동화되어간다.
사실,,, 인디언들의 생활을 하나하나 배워가며 서로의 짝을 찾아가는 모습에서
예전에 봤던 영화 [7인의 신부]가 문득 떠올랐다는,,,
물론 7인의 신부처럼 해피엔딩은 아니었지만,,,

인디언들 역사의 아픈 흔적들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메이 도드와 그녀들이 인디언 문화 속에서 빚어낸 소소한 에피소드들과
그 속에서 사랑을 찾으며 각자 지니고 있던 아픔을 치유해 가는 모습은
충분히 우릴 해피하게 만들 것이다.




"오늘 우리는 떠난다. 나는 인디언 아낙이다." - 메이 도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