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완성 - 하버드대학교 ‘인생성장 보고서’ 그 두 번째 이야기
조지 베일런트 지음, 김한영 옮김 / 흐름출판 / 2011년 6월
평점 :
절판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 하지만 과연 우린 진정 행복하다 말할 수 있을까요?
여러분은 행복하십니까?
사람은 누구나 행복하기를 원하죠.
그리고,, 그 행복에 대한 기준은 저마다 다릅니다.
저마다 다른 행복의 기준 속에서,, 우린,,, 행복의 정의를 어떻게 내릴 수 있을까요?
집필 기간 12년,, 미국의 정신과 전문의 조지 베일런트 박사는
사랑, 희망, 기쁨, 용서, 연민, 믿음,,, 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무엇이 우리를 진정으로 행복하게 해줄까에 대한 해답을 
과학적인 근거와 사례를 통해 제시합니다.

사례 1
갱단의 13살짜리 소년이 아무 이유 없이 겨눈 총에 하나뿐인 외아들을 잃은 어머니,
법정에서 자신의 아들을 죽인 소년을 노려보며 "널 죽이고야 말겠어."란 말을 내뱉습니다.
반년 후 피해자의 어머니는 아들을 죽인 소년을 찾아가 대화를 나눈 후 약간의 돈을 주고 떠납니다. 
그 후 그녀는 자주 면회를 갔고, 소년이 형기를 다 채웠을 무렵,
취직까지 알선 하고, 찾아갈 가족이 없는 소년에게 자기 집의 빈 방을 내놓고 함께 살아갑니다. 
그리고 어느 날 소년을 거실로 불러
"오래 전 법정에서 내가 너를 죽이겠다고 말한 것 기억나니? 
 내 아들을 아무 이유도 없이 죽인 사람이 이 세상에 버젓이 살아 있는 게 싫었단다. 
 바로 그 때문에 나는 너를 찾아갔고 돈과 물건을 넣어주기 시작했지.
 바로 그 때문에 너에게 직업을 소개해주고 너를 이 집에 살게 했어.
 그런데 그것이 어느덧 너를 변화시켰구나. 예전의 그 소년은 사라졌어. 
 자, 너에게 물어보고 싶은 게 있다. 이제 내 아들은 사라졌고, 
 내 아들을 죽인 살인자도 사라졌으니 여기에서 계속 살면 어떻겠니? 
 네가 원한다면 나는 너를 양자로 들이고 싶구나."

그녀는 아들을 죽인 살인범을 용서했고 진정한 마음의 평화를 얻습니다.

사례 2
성격 검사에서 최하위 그룹 8명에 속해 있던 팀 머튼은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정신이 황폐해져 있었지만 폐결핵에 걸려 입원해 있는 동안
간호를 받으며 그 작은 보살핌을 통해 사랑받는다는 느낌을 깨닫게 됩니다.
그 1년이,,, 자신에겐 휴식이었고, 자아를 찾아가는 시간이었던 거죠.
그리고 깨닫습니다. 사랑하는 사람들과의 접촉이 자신을 변화시켰다는 것을 말이죠.

이 외에도 다수의 예와 실험을 통해,,, 사랑, 희망, 기쁨, 용서, 연민, 믿음,,,에 대한 정의를 내려갑니다.
그리고,,, 그는 말합니다.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랑'이라고... 
사랑이 당신의 인생을 바꿔줄 것이라고,,, 말이죠.
사실,, 우리는 이 모든 것을, 그의 결론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행복의 가장 최상의 요건이 사랑이란 사실,,,
하지만,,, 그것이 가장 어렵다는 것도,, 우린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생을 살아가는 일이 험난한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말이죠.
사랑, 희망, 기쁨, 용서, 연민, 믿음은,,, 
후천적인 학습이 아닌 선천적으로 내재돼 있는 감정이란 사실을 
우린 이 책을 통해,,, 각인시켜 갑니다.

누구에게나 내재돼 있는 사랑은,,, 
서로에게 전달되며, 서로를 느끼며, 주고 받는 과정에서 샘솟는 것이 행복이란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가 만들어가는 행복의 완성이란 사실,,,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가장 깨닫기 힘든 진리란 사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