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 기억력의 비밀 - 내 안에 잠든 슈퍼 기억력을 깨워라
EBS 기억력의 비밀 제작진 지음, 신민섭.김붕년 감수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품절


 

 

“모든 것을 기억하면 과연 행복할까?”란 물음에서 시작된 기억력의 비밀
지난 2009년 7월 EBS에서 방영된 3부작 다큐멘터리 ‘기억력의 비밀’이 책으로 출간됐다.

우린,,, 나이가 들면서, 다양한 기계들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쏟아지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점점 퇴화되고 있는
자신의 기억력에 한탄할 때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노래 가사 한 곡 제대로 외우지 못하고,
자신의 전화번호도 가끔은 깜박깜박해주시고,
손에 쥐고 있는 열쇠를 찾고 있는 나,,,
가끔,,, 단어 음절을 뒤바꿔 읽는 난독현상에,,,
여기서 보니 혀끝에서 맴도는 기억,,, 그,,, 뭐더라,, 그거 있잖아,, 설단현상이란다.
난,, 이 설단현상까지 갖고 있는 것이 아닌가,,,
음,,, 퇴화되고 있는 것이 분명한 나의 기억력,,,
그렇다면,,, 퇴화된 기억력을 다시 복구 시킬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
<기억력의 비밀>에 그 해답이 나와 있다.

1장 인간에게 기억력이란?
과잉기억증후군으로 인생의 모든 일을 기억하는,,, 인간달력이라 불리는 질 프라이스,,,와
자동차 사고로 얼굴 & 물체 실인증을 앓고 있는 정호영씨의 이야기,,,
발달장애, 정신지체, 자폐증 등 정신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특정분야에서 경이적 능력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
행복한 인생의 기억이 사라지는 알츠하이머, 불행한 기억이 남긴 트라우마 등,,,
인간의 기억력에 대한 이야기들을 풀어놓았다
.그리고,,, 시작했을 때의 제작진의 질문,,
과연,,, 모든 것을 기억하면 과연 행복할까?란 질문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본다.
제작진은 얘기한다. 어찌 보면 가장 행복한 것은 평범한 수준의 기억력이라고,,,

2장 슈퍼 기억력을 가진 사람들
미국에선 기억력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가 있단다.
슈퍼 기억력을 가진 사람들이 일상에서 어떻게 훈련을 하고
기억력을 기르는지에 대한 비법들이 숨어있는데,,,
기억력의 대가들이 사용하는 방법은 청킹(묶어서 기억하기), 연상,
앵커링(새로운 정보를 친숙한 정보로 연결하기),
여정기억법(이야기를 만들어 기억하기) 등,,,의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원래 기억력이 나빠서’, ‘원래 숫자에 약해서’, ‘원래 얼굴 구분을 잘 못해서’,
‘나이가 많아서’,,, 는 이제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기억은 훈련으로 달라질 수 있다. 마치 근육을 만들 듯이,,,,
기억력은 자신의 뇌를 깨울 수 있다는 믿음과
몇 가지 기억력 훈련 방법만 익히면 증폭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단, ‘기억하려는 의지’가 전제될 때만 가능하다는 사실,,
우리의 의지가 중요하단 이야기다.

3장 잠자는 뇌를 깨워라.
‘우유를 먹으면 기억력이 좋아질까? ‘낮잠 30분을 자면 집중력이 높아질까?’
정답은,,, 좋아진다. 속설이 사실인지 확인할 수 있는 실험을 통해
기억력을 높일 수 있는 외부적 요건에 대해 증명하고 있는데,,,
기억력을 높이는 요건은 좋은 영양분 섭취(우유, 오메가 3- 지방산), 15분 정도의 낮잠,
일주일 5일 30분 이상의 운동, 꾸준한 학습, 하루 30분 외국어 회화, 독서,
일기 쓰는 습관 등이 두뇌를 좋게 만드는 요건을 이행한다면,,
누구나 잠자는 뇌를 깨울 수 있다는 것이다.
음,, 나 두뇌 발달 좀 되겠는데,,, 운동과 독서, 일기,, 정도는 행하니 말이다.
음,,, 이젠 기억하려는 의지만 좀 키워봐야겠는 걸,, ^^

4장 기억력 실전 트레이닝
연상훈련에서 장소법, 점 트레이닝, 신체 부위 결합법 등
여러 가지 기억법을 소개하고 있다.

기억력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들을 책을 통해 접하면서
의외로 흥미진진해 하며,, 스스로를 대입시켜 보며,,
즐겁게 독서하고 있는 날 발견할 수 있었다.
점점 퇴화하고 있다 생각한 나의 기억력은,,,
얼마든지,, 내 스스로 의지만 갖고 있다면 깨울 수 있음을 깨닫게 됐달까?

* 노력하지 않으면 다른 사람보다 더 빨리 몸이 늙는 것처럼 뇌도 빠른 속도로 늙는다.
  아무 노력도 하지 않으면 40세 이후 뇌세포 수는 10년에 5%씩 줄어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