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한국사 - 나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역사 공부 사계절 1318 교양문고
심용환 지음 / 사계절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사에 대한 나의 트라우마를 설명하자면..

고등학교 국사(라떼는 국사라는 과목이었다..)시간은 나에겐 고통의 시간이었다. 윤리선생님이 어찌된 영문인지는 모르겠으나 국사를 가르치셨는데 너무나 형이상학적인 말씀만 해주셔서 당최 뭔소리인지 모르겠더라는.. 선생님께 심심한 유감을 표명하며 점점 역사와는 멀어져만 갔다. 기억나는 것이라고는 history= his story 정도? 그렇게 사극도 멀리하며 지내던 나날.. 요즘 임고생들은 한국사검정시험이란 걸 봐야 임고를 치른다는 이야기를 듣고 경력교사가 이 정도는 갖고 있어야지하고는 야심차게 한국사검정시험을 준비하기에 이르렀다. 선사시대부터 우리 역사는 왜 이리 장구한지... 외울 것도 많고 인물도 많고 유물도 많았다. 간신히 과락을 면하며 시험은 치루어냈으나 여전히 역사는 나에게 위험하고 저절로 거리 두기가 되는 학문이었다. 그러나 국어교사의 업을 지고 살기에, 아이들 앞에서 역사 쫌 아는것처럼 연기해내야하는 임무 때문에 틈 날 때 마다 관련 책을 찾아 읽으려고 노력은 해야했기에 친절한 한국사는 정말로 친절해야만 했다.

다행히도 시작이 세종대왕이네. 우리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을 진짜로 딱 한 분만 고르라면 난 주저없이 세종대왕이다. 눈과 귀와 두뇌를 열어 주신 분이라고 생각하기에 고민할 것도 없다.(이순신장군님 죄송합니다!) 그런 세종대왕의 한글 창제 역사에 대해 국어과교사로서 할 말이 없는 교사는 한 사람도 없을 것인지라 시작이 아주 흥미로웠다. 역사는 해석이 중요하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하며 읽었다. 그것도 아주 잘. 세종대왕의 애민 정신을 현대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었던 가를 알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재작년 학생들과 독서토론 모임을 하며 읽었던 다른 역사책에서 백선엽이란 인물에 대해 어떻게 평가해야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했던 적이 있었는데 그 답을 알았더라면 토론을 더 훌륭하게 마무리했을텐데. 역사는 정답이 아닌 더 나은 생각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말에 백프로 공감을 하며 아이들에게 이제 자신있게 아는 척을 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해석은 인간 세계에서 벌어진 모든 일. , 역사에서 무엇이 의미 있고 중요한지, 어떤 것에 관심을 두고 어떤 이야기를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판단다는 과정이다.”-머릿말

 

역사에서 소외된 여성의 이야기도 최근 3·1절 기념식에서 봤던 지라 관심이 갔다. 역사에서 의미있는 것, 중요한 것이란 승자의 이야기만이 아니라 과정에서 빛을 발하든 못하든 현장에서 살아있던 사람들이란 것을 생각하게 만드는 지점이었다. 독립을 향한 염원에 남녀가 어찌 구분이 되었을까란 생각을 하며 가슴이 뜨거워지는 경험이 되었다.

역사란 지루하고 재미없는 것이라고 생각해오던 편견을 깨고 더 알고 싶어지고 아는 척을 하며 대화에 끼어들고 싶다면 책장에 소장할 가치가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