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홉 꼬리의 전설
배상민 지음 / 북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고 <아홉 꼬리 달린> 구미호에 관한 이야기라고 생각했다. 요괴는 사람들의 입을 통해 살아나 사람들을 도와주기도 하고 헤치기도 한다. 책에 등장하는 구미호, 처녀귀신, 불가살이는 대대로 전해내려오는 요물인 동시에, 사람들이 얼마나 소문과 이야기에 의지해 살았는지 보여준다.


고려 말, 밖에서는 왜구의 침입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안에서는 권문세족과 신진사대부의 싸움으로 백성들의 삶이 피폐해졌다. <아홉 꼬리의 전설>의 시대 배경은 고려 말,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후이다. 장소 배경은 양주 일대(현재의 경기도)와 개경(현재의 개성)이다.


양주 사는 정덕문은 성균관 유생으로 영특한 선비였다. 그러나 입신양명에 뜻이 없어 번번이 과거시험을 대충 보고 집에 내려온다. 정덕문의 어머니는 권문세족 집안(오빠는 과거를 치러 사대부가 됨)의 여식으로, 개경에 든든한 친정이 있다. 정덕문의 아버지는 어머니 집안에 비해 한미한 집안이다. 아버지는 과거를 통해 중앙 정계에 나간 적이 있다. 관리이자 선비로서 왕에게 잘못을 고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심한 고문을 당하고 낙향했다. 아버지가 고문을 당한 것을 본 정덕문은 몸을 사리고 정치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마음먹는다. 그리고 한량처럼 이야기를 수집하러 이곳저곳 떠돈다. 처녀귀신 이야기도 듣고, 불가살이 이야기도 듣고, 구미호 이야기도 듣고, 외국에서 들은 특이한 죽음도 수집하며 돌아다닌다.


정덕문이 사는 고장에는 수백 년째 마을을 다스리는 호장가 최씨네가 있다. 호장가는 조정의 명을 받고 내려오는 관리, 특히 감무가 눈엣가시다. 마침 구미호와 처녀귀신에 의해 마을 사람들이 죽어나간다. 호장가 최씨네는 감무로 임명된 사람들과 술과 밥을 함께 하며 마을 일을 논의한다. 과연 호기심 많은 선비 정덕문과 전쟁터에서 구르다 온 무사 금행, 마을 터줏대감 호장가네 사람들은 요물의 실체를 밝혀낼 수 있을까.


어릴 적에는 귀신 이야기를 듣고 무서워 벌벌 떨었다. 한여름 밤 귀신 이야기를 들은 날에는, 온 집안에 불을 켜 놓고 잠을 청했다. 조금 커서 신화에 얽힌 해석을 보면서 요물에 대해서도 다른 식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의 염원이 신화에 투영된 것이라면, 사람들의 원한이 요물에 투영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이 책 역시 요물에 관한 다른 해석을 보여준다. 주왕을 타락시킨 요녀 달기와 강태공, 삼족구 이야기는 이야기와 소문이 가진 힘을 보여준다.


아홉 꼬리의 전설 이야기가 끝나고, 호장가와 정덕문, 금행을 비롯한 고려인들이 어찌 될지 짐작해 볼 수 있다. 때는 고려 말, 이제 조선이 건국될 참이다. 이제 또 어떤 이야기가 또 만들어지고 어떤 요괴가 나타날까 생각해 본다.


(북다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된 감상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