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 - 뇌인지과학이 밝힌 인류 생존의 열쇠 서가명강 시리즈 25
이인아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뇌과학이라고 하면 막연히 어려운 생각이 든다. 그러나 서가명강 시리즈는 일반인도 이해하기 쉽게 풀어 쓴 것이라고 해서 가벼운 마음으로 읽었다. <서가명강>은 서울대에 가지 않아도 들을 수 있는 명강의를 줄인 말로 이 책 <기억하는 뇌, 망각하는 뇌>는 이 시리즈의 25번째 책이다.

이 책은 뇌인지과학이 밝힌 인류 생존의 법칙이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서울대 자연과학대 뇌인지과학과 이인아 교수가 이 책의 저자이다. 총 4부로 이루어져 있고 1부에서 4부로 이어지는 동안 뇌 그림이 변화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1부 뇌는 학습한다, 고로 생존한다>에서는 뇌는 끊임없이 학습한다고 설명한다. 생존을 위해 해로운 것은 피하고 이로운 것을 취하기 위해서이다. 회상과 재인의 차이, 절차적 학습과 절차적 기억에 대한 설명 등을 영화 메멘토와 AI 알파고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2부 학습한 것은 기억이 된다>에서는 일화기억(Episode)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언제, 어디서, 무엇에 관해 기억하고 있으면, 이 기억은 일화기억으로 인정된다고 한다. 처음에 일화기억은 인간만이 갖고 있다고 주장되었는데, 니케 클레이턴이 덤불어치 실험을 통해 인간 뿐 아니라 동물도 일화기억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뇌가 기억하지 못할 때와 과하게 기억할 때의 문제점을 설명한다. 우리가 정상적으로 생활하는 데 필요한 뇌의 기능이 저하된 치매현상과 뇌가 (생존과 관련된) 특정현상을 과하게 기억하고 있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예로 들고 있다.

<3부 일생의 기록관 해마, 경험하고 기억하다>에서는 해마에 대해 살명한다. 해마는 공간기억, 일화기억, 상상력과 의사결정 등, 즉 사건을 기록하는 기록관 역할을 담당한다. 사람의 얼굴 양 옆 쪽으로 각 1개씩 총 2개가 있다.

해마는 순간/찰나를 기억하고 그에 대한 핵심기록만 남기기 때문에 기억에 구멍이 생길 수 있다고 한다. 이 것이 해마의 딜레마이다.

헨리 몰레이슨(HM) 뇌전증 환자 윌리엄 스코빌 박사가 해마제거 수술을 한 후 메먼토의 주인공처럼 일화기억을 못하는 상황을 예로 든다. 그리고 기억의 패턴완성과 패턴분리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대부분 뇌세포는 한번 사멸하면 대체 불가능하니, 뇌를 소중히 여기라고 작가는 덧붙이고 있다.

<4부 뇌 속 기억의 비밀을 모두 알게 된다면?>를 통해 궁금하던 점이 조금 해소되었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긴 것을 계기로, 인공지능 AI가 무섭게 느껴졌다. 곧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를 따라잡고, 인간을 지배하는 디스토피아가 펼쳐치는 것은 아닐까 생각되었다. 이 책을 읽고, 알파고는 막대한 전력을 쓰고 안전한 곳에서 바둑을 위한 계산만 한 것에 반해, 이세돌 기사는 1.5키로 그램의 뇌만으로 AI와 겨룬 것이므로, 알파고가 인간 보다 뛰어나다고 할 수는 없다. 인공지능이 사람의 뇌와 같아지려면 아직 멀었다고 한다. 사람들은 지인이 헤어스타일을 바뀌거나 옷을 바꿔입어도 동일인으로 금방 인지하는데, 현재의 인공지능 그 것이 어렵다고 한다. 그래도 수 많은 뇌인지과학자들이 뇌의 구조를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발전하고 있으니, 인공지능연구의 겨울은 짧게 끝나고 새로운 봄이 다시 찾아오지 않을까 싶다.

(21세기북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감상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