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도라는 죄가 없다 - 우리가 오해한 신화 속 여성들을 다시 만나는 순간
나탈리 헤인즈 지음, 이현숙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그리스로마신화처럼 술술 읽혀 내려가는 책이 아니다, 그리스 신화와 10명의 여성에 대해 연구한 인문서적이다. 한 인물당 시대별로 다양한 문학작품(희곡 등)과 항아리와 그림 등을 비롯한 예술품들을 예로 들어 해당 인물을 다양한 각도에서 보여주고 있다. 한가지 아쉬운 점은 예로 든 예술 작품들을 책에 실어주었다면 독자가 인터넷으로 자료를 찾아보는 수고가 덜 했을텐데, 그리고 책을 좀더 수월하게 읽었을텐데.

책 제목이 “판도라는 죄가 없다”길래 판도라에 대해서만 쓴 인문학 서적인 줄 알았다. 그런데 이 책은 판도라 뿐만 아니라 그리스신화 속 여러 여성들(판도라, 이오카스테, 헬레네, 메두사, 아마존 전사들, 클리타임네스트라, 에우리디케, 파이드라, 메데이아, 페넬로페)을 다루고 있다. 이 중 이오카스테와 클리타임네스트라, 에우리디케, 파이드라는 이름이 낯설어서 다른 등장인물 보다 주의깊게 읽었다.

“세상에 온갖 악을 가져온 판도라, 트로이의 왕비인 헬레나, 머리가 뱀으로 되어 사람들을 돌로만들어 버리는 메두사, 여자들만의 공동체를 만든 아마존 전사들, 마녀 메데이아, 오딧세우스의 정숙한 아내 페넬로페”가 지금껏 내가 알고 있는 그녀들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이름을 새로 알게된 오이디푸스의 친어머니이자 아내 이오카스테, 아가멤논 왕의 부인 클리타임네스트라, 오르페우스가 저승에서 데려오려고 한 부인 에우리디케, 의붓아들을 사랑한 파이드라는 악녀 또는 수동적인 여성으로 낙인 찍힌 신화 속 여성들이다.

작가는 남자들의 신화 속에 숨겨진 여자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리고 시대가 흐름에 따라 어떻게 다른 이야기로 변해 왔는지 밝히고 있다. 한 예로 왜 제우스는 프로메테우스를 벌하기 위해 판도라를 보내고, 모든 재앙에 대한 원망을 단지 “도구로 쓰인 판도라”에게 향하게 했는지 밝히고 있다.

작가는 또한 그리스 신화 속 다양한 상징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베짜기는 정숙한 여인을 나타내는 덕목이며, 여성이 목을 매고 자결하는 것은 순결한 여성의 자살 방법이라고 한다. 이오카스테가 목을 매고 자살하는 것은, 그녀가 결혼하기 전 순결한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했다.

이 신화들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는 남녀 불평등의 사회였다. 남자들은 여러 여자들과 결혼을 하거나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여자는 페넬로페처럼 남편을 위해 평생 정절을 지켜야 했다. 또한 영아 사망율이 매우 높아 지금은 이해가 되지 않는 영아 살인과 방치는 그 당시에는 그리 충격적인 장면이 아니었다고 한다. 우리 애도 많이 죽아나가는 마당에 남의 애의 죽음에 슬픔을 애도할 만큼 감정이 넘쳐나지 않다는 내용이 나온다.

처음 희곡으로 발표되거나 구전으로 나왔을 당시에, 대부분의 여자들은 대사가 없거나 서사가 없었다. 특히, 10,20대의 매혹적인 소녀 또는 결혼적령기의 여자가 아니라면 더더욱 묘사를 볼 수 없었다 한다.

그러나 현대로 돌아오면서 이제 이 이야기는 여성의 관점으로 다시 쓰여지고 있다. 어릴적 당연히 읽었던 그리스 신 아래 여성들의 관점에서 다시 한번 읽어 보는 건 어떨까 싶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된 감상문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