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극복의 힘 - 그 어떤 역경도 이겨낼 수 있는 당신의 특별한 능력
피터 위벨 지음, 조용만 옮김 / 산수야 / 2009년 7월
평점 :
잠재적 능력.
나 자신을 변화시키려 노력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인생에서 들어봤음직한 단어이다.
인간의 내면속에 있는 무한한 능력인 이것은 그것을 개발시키는 사람과 개발시키지 못하는 사람을 구분지어 전자에 속해야 한다는 깨우침을
주곤 한다. 그것에 따라 우리의 인생이 얼마나 달라지는지 평범한 예화를 통해서, 유명한 인물의 삶을 통해서 자주 듣게 된다.
피터위벨 박사는 이 잠재적인 능력을 '극복의 힘'이라는 책을 통해 독자에게 설명하고자 한다.
의학, 심리학 교수답게 저자는 역경에 처한 수천명의 환자들을 대하면서 그들이 놀라울 정도의 회복력을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의 긍정적태도와 굳은 각오라는 정서적 회복력이 무엇보다도 가장 강한 잠재력이라는 사실을 알고 그것을 높일 수 있는 비결을 밝히고 있다.
치료방법이 거의 전무한 희귀병에 걸린다면, 암 말기라면, 두 다리를 절단해야 한다면, 루게릭병에 걸려 일상생활이 불가능해져 간다면,,,
이런 상황을 가정하게 되면 일반적인 사람들은 차라리 죽는걸 선택하겠다는 사람들도 나올 것이며, 삶이 너무 비참하게 마무리된다고 느끼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저런 병에 걸린사람들은 굉장히 불행하다고 느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의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이런 병에 걸린 사람들의 행복지수는 건강한 사람의 행복지수와 큰 차이가 있지 않다. 게다가 행복하다는 사람, 건강할때보다 더 의욕적으로 일을 하는 사람, 새로운 삶을 개척하는 사람,,, 이것이 실제 그들의 삶이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일까. 환경탓일까, 유전자의 탓일까. 결론은 유전적 영향은 50%, 환경적 영향은 20%이다. 그러나 유전적 영향을 제외한 50%는 결과를 뒤집을 수 있는 충분한 확률이다. 즉 어떤 상황에 놓이든 간에 인간은 극복할 수 있는 성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건드릴 수 없는 유전적 요소를 제외한 비유전적 요소를 중심으로 사람들이 역경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순차적으로 나열해 간다.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에 얼마나 빠르게 적응해나가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다시 새로운 삶이 시작된다는 것이 놀랍기도 했다.
그것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느냐는 전적으로 본인에게 달린 일이라는것과 양쪽의 장단점을 살필수도 있었다.
게다가 사람들이 큰 역경은 대부분 잘 이겨나가지만 의외로 작은 것에 넘어지고 쉽게 극복해내지 못한다는 점은 요즘 나의 상황을 살펴봤을때 공감이 가는 대목이었다.
중간중간 나오는 심리학 연구결과들이 이해를 돕는데 도움이 되기도 했으나 의학적 용어는 출판사에서 쉽게 쓰려고 힘들게 교정했다는 말을 들었음에도 어렵게 느껴지는 건 어쩔 수 없었다. 그리고 '극복의 힘'이라는 제목에서 느껴지는 포괄적인 범위와는 달리 너무 대상을 환자들에게 집중한 경향이 있어 몰입도에 있어서는 다소 떨어지기도 하는 측면이 있다. 역경을 삶의 부분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독자의 몫인것 같다.
또한 물론 '극복의 힘'이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고 자료를 모았기에 이해할 수 밖에 없지만 책에 노출된 몇명의 환자들의 역경과 극복을 읽어나가자면 내 주변에서 힘겹게 병마와 싸워나가는 사람들의 삶과는 동떨어진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럼에도 삶을 돌아봤을때 공감가는 부분들이 많이 들어와 고개를 끄덕이게도 해 주었고, 다시금 내 내면의 힘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도 있었다. 그리고 심리학에 대해 더 흥미를 느끼게 만들어 주기도 했다.
저자는 마지막에 '행복에 이르는 길'에서 조언 한마디를 던진다.
좋은 것은 감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부정적인 사건은 분석해라.
이것이 반대로 뒤집어진다면 우리의 삶은 참으로 힘들어지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깊숙하게 조언을 받아들여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