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함의 배신 - 목적 없는 성실함이 당신을 망치고 있다. 아무리 노력해도 항상 제자리걸음인 사람들을 위한 성공처방전
젠 신체로 지음, 박선령 옮김 / 홍익 / 201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회사 생활에서 성실함 없이는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없다.  

가장 큰 예로, 아침 이른 출근에서부터 야근까지 책상에 오래 앉아있는 것을 '일의 성실함'이라고 판단한다. 이 외에, 일 외적인 회사생활에서도 충성하고 원하든 원치않든 회사를 위해 헌신하는 것.  이도 '일의 성실함'이라 판단한다. 

지금까지 시간을 오래 투자하는 것을 성실함이라 보는 경향이 컸다. 

조금 더 똑똑한 회사는 기본 베이스는 성실함을 우선하고 거기에 특별한 능력을 내뿜는 직원들을 좋은 직원이라 판단했다. 

  

크리에이티브가 우선시되고, 능력이 우선시되는 사회로 변화한 지금, 성실한 것이 정말 중요한 가치일까? 성실함은 유년의 학교생활부터, 사회 초년생의 시작하는 직장생활까지 우리에게 습관이 되어있고 우리에게 가장 중요히 가르치는 가치 중 하나였다. 어릴 때부터 이런 성실함이 하나의 목표가 되니, 진정한 일의 목표, 삶의 방향과 목표를 잃은 채, 성실함만을 지키는 사람들도 많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다. 바로 나같은 사람들.  


요즘 직장생활에서 바쁜일만 처리하다보면, 내가 어디로가야하는지, 내가 하려고했던 것은 무엇인지, 내가 가고자 했던 방향은 어디인지 잃어버릴 때가 많다.  당장의 급한 것만 처리하다보니, 정작 방향은 잃어버린 채 앉아서 무언가를 했음을 최우선으로 알고 이를 하나씩 해나가는 것이다. 


성실하다는 것이 전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현재의 시대에 있어서 방법이 맞지 않을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책에서는 열심히 노력한 것은 기본이요, 그 위에 정말 방향이 맞는지, 내가 이루고자 하는 것들이 맞는지를 분명히 확인하라고 한다. 그 방향을 잃게되면, 금방 스스로가 허물어져버리고, 성실함의 이유를 모른체 바보같은 노력만 하는  행동에 빠질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우매한 행동을 범하지 않기 위한 방법을 알려준다 . 


내가 무엇을 해야하는지를 분명히 알고, 이를 위해 자신있게 밀어붙이고 행동하는 것. 

이것이 성실함에 배신 당하지 않기 위한 가장 큰 방법이 아닐까 싶다.   

성실함도 성공에 다가가는 한 방법이지만, 성실함뿐만 아니라 목적과 목표를 분명히 갖고 있다면 더욱 빠르게 성공에 안착하는 비결이 되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