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low 글로우
노엘리아 곤살레스 지음, 사라 보카치니 메도스 그림, 고정아 옮김, 심채경 감수 / FIKAJUNIOR(피카주니어)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구와 나 그리고 모든 것의 기원인 우주의 신비로움 속으로

#피카주니어 #GLOW #글로우 #노엘리아곤살레스 #사라보카치니메도스 #고정아 #심채경 #우주탐험 #별 #행성 #천체 #우주










저마다의 빛으로 밤하늘을 밝히는 15가지 천체를 알아볼까요?









차례

달 / 태양 / 북극성 / 수성 / 오리온의 허리띠 / 금성 / 핼리 혜성 / 화성

알리오트 / 목성 / 시리우스 / 인공위성 / 아크룩스 / 은하수 / 대기










태양

태양은 태양계 중심에 있는 별이에요. 지구가 우리 집이라면 태양계는 우리 동네라고 할 수 있어요.

우리 동네에는 다른 행성들과 함께 왜소행성, 달, 소행성, 유성체, 혜성도 있어요.

태양계의 모든 것은 태양을 공전해요. 태양도 우리 은하의 중심부를 공전해요.

태양이 지면 밤이 돼요. 그런데 태양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때도 열과 빛을 내며 지구에

에너지를 줘요. 태양이 없으면 지구 위의 생명은 살아갈 수 없어요.


태양은 우리가 사는 지구에 어떤 변화를 주었을까요?

① 햇빛 덕분에! 지구에 동물과 식물이 살 수 있어요.

② 지구는 자전하는 동시에 태양을 공전해요. 이 방식 때문에

우리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어요. 인류 최초의 시계는 해시계예요.

③ 계절이 생기는 이유는 지구의 계절은 우리가 사는 지역이 태양과

어떤 각도로 만나느냐에 따라 결정돼요. 우리가 사는 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여름이 되어서 낮이 길고 기온이 높아져요.

④ 역사 속 태양 이야기 수천 년 전에 살았던 인류의 조상들도 태양의

강력한 힘을 잘 알았어요. 그래서 태양을 신으로 섬긴 곳도 많았어요.










핼리 혜성

1986년의 밤하늘 그 해는 혜성 중에서 가장 유명한 핼리 혜성이 마지막으로

지구에 찾아온 해예요. 1986년은 관측 환경이 별로 좋지 않았지만 다음번인

2067년에는 더 잘 보일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요.


핼리 혜성이 우주를 지나갈 때면 그 뒤로 우주 부스러기 즉 유성체들이 꼬리를

길게 드리워요. 지구는 해마다 이 부스러기의 꼬리를 지나게 되고 그때마다

짧지만 환상적인 유성우의 우주쇼가 펼쳐져요. 그러면 하늘의 한 지점에서 많은

유성이 바큇살처럼 뻗어 나가는 게 보여요. 핼리 혜성은 5월의 '물병자리 에타

유성우'와 10월의 '오리온자리 유성우'를 일으켜요.


역사 속 핼리 혜성 이야기

옛날부터 사람들은 혜성을 보면 놀라움과 두려움을 느꼈어요. 어떤 사람들은

핼리 혜성이 죽음과 파괴를 가져오는 불길한 징조라고 여겼어요.










은하수

은하수는 광대한 우주에서 우리가 살아가는 집이에요. 우주는 엄청나게 많은 별,

행성, 먼지, 가스가 중력이라는 힘으로 한데 모인 거대한 집단이에요.

우리 하늘에 보이는 모든 별과 행성은 은하수에 속한 것이지요. 우리가 은하수

안에 있어서 은하수 전체를 볼 수는 없지만 그 일부는 볼 수 있어요.


은하수는 밤하늘에 길게 뻗은 반짝이는 먼지 구름 같은 모양이에요.

은하수를 제대로 보려면 하늘이 정말로 어두워야 해요. 그런 환경을 찾으러면

인공조명이 일으키는 빛 공해가 없는 곳으로 가야 해요.


역사 속 은하수 이야기

오랜 옛날부터 세계 곳곳의 사람들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신비한 빛무리에

대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만들었어요. 고대 그리스에서는 은하수가 제우스의

아내 헤라 여신이 하늘에 뿌린 젖이라고 했어요




천문학적 지식을 쉽게 알려 주고 각 천체에 대한 역사 속 이야기, 별과 행성을 더 자세히

알려 주고 흥미와 재미를 주어요.

아이들에게 우주를 탐험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천체에 대한 관심도 많이 생겼어요.

이 책을 읽고 아이들이 우주에 관한 큰 꿈을 꾸었으면 좋겠어요!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고 본인의 주관적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