엿보는 자들의 밤
빅터 라발 지음, 배지은 옮김 / 현대문학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내를 엄청나게 사랑하던 한 남자가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남자는 그토록 사랑하던 아내와 아들을 두고 돌연 사라져 버린다. 도대체 왜?

아이를 누구보다도 사랑하던 한 여자가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그 여자는 그토록 사랑하던 아이를 죽이고 잠적한다. 도대체 왜?

얼핏 생각해도 도저히 납득이 가지 않는 이야기들이다. 동시에 소설이 가질 수 있는 아주 좋은 질문들이다. 정말 궁금하지 않은가. 한눈에 반해서 8년 만에 겨우 첫 데이트에 성공한 뒤, 오매불망 사랑해 마지않던 아내와 아이를 두고 어느 날 돌연 사라져 버리다니. 운명과도 같은 만남 뒤에 이어진 진정한 사랑을 거쳐, 마침내 남편으로 맞이한 남자와의 사이에서 극적으로 태어난 아이, 그토록 아끼고 사랑하던 아이를 다른 사람도 아닌 아이의 엄마가 죽여야만 했던 이유는 대체 무엇이고. 빅터 라발의 <엿보는 자들의 밤>은 사라져 버린 남자의 아들이자 자신의 아이를 죽인 여자의 남편인 아폴로, 주인공 아폴로가 사라져 버린 아내를 추적하는 과정에서 알게 되는 어떤 진실들에 관한 이야기다.

음, 다 읽고 난 뒤, 감상을 뭐라고 해야 할까. 우선은 무척 재미있다. 소설 치고는 매우 두꺼운 데도 불구하고(600페이지), 줄거리가 흡입력 있고 문장이 매끄러워서 굉장히 잘 읽힌다. 인물들의 캐릭터도 살아있고 독자로 하여금 긴장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사실 처음에 읽을 때는 엄청 흥분했다. 오오 이런 엄청난 소설을 또 발견했다!! 하고 기뻐 날뛸 뻔하다가..... 500페이지 넘어가면서 급 시무룩... 해져버렸다고 해야 하나. 그러니까 내게 있어서는, 미안한 말이지만 떡밥은 엄청나게 많이 뿌렸는데 회수가 잘 안 되는, 그런 류의 이야기였다.

사실 떡밥들이 아예 회수가 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나름 다 회수를 하긴 하는데, 그걸 논리 정연하게, 납득 가능하게 수습하는 게 아니라 판타지스러운 어떤 설정으로 퉁쳐버린다. 그러니까 500페이지 정도까지는 현대물, 리얼 물이었다가 갑자기 비밀이 해결되는 지점부터 스티븐 킹의 환상소설 같은 분위기로 바뀌는 것이다. 그러므로 장르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냥저냥 받아들일 수도 있긴 한데, 이 전환이 도무지 부자연스럽다는 것도 문제다. 적어도 내가 느끼기엔 그랬다. 뭐 미국에서 여러 가지 상을 휩쓸고 엄청난 찬사를 많이 받았다는 걸 보면 나만 그런 건가 싶기도 하지만.

하지만 그런 부자연스러운 전환을 감수할 정도로 앞의 500페이지가 엄청나게 재미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읽으면서는 굉장히 즐거웠다. 이전에 읽었던 책, <베스트셀러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에서 베스트셀러들의 공통점이 설명된 적이 있었는데, 그런 면에서 이 책 또한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을만한 요소를 빠짐없이 갖추었다. 전개가 빠르고,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다루고 있다는 점,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흥미를 느낄만한 낯설지만 친숙한 이야기가 세세하게 소개된다는 점, 주인공이 이방인이자 이단아로서의 기질을 갖춘 매력적인 인물이라는 점, 등등.

결말에서 너무 급격한 전환이 일어난다는 것 외에 이 소설이 가진 또 하나의 치명적인 단점은,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 많다는 것도 있다. 싱글맘, 여성문제, 직장 내 성적 위계, 육아의 부담감, 현대 기술의 위협, 인종문제 등등등. 작가인 빅터 라발은 어느 날 페이스북에 습관적으로 올리던 아이 사진의 좋아요 리스트를 살펴보던 중, 좋아요를 누른 사람 수백 명이 자기가 직접 알지도, 만나본 적도 없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만약 그들 중 누군가가 혹 자신의 아이를 해하려고 할 때는 과연 어떡해야 하나 하는 공포심을 느끼고 이 소설을 쓰게 되었다고. 그러므로 소설은 인터넷과 정보기술이 발달하면서 일어날 수 있는 어떤 위협을 굉장히 과장되게 그려내고 있는데, 그 부분도 좀 납득이 잘 가지 않았다. 인터넷에 매우 능숙한 인물이 나오는데 뭐 해킹해서 남의 계좌에서 돈도 마음대로 넣었다 뺏다 하고 남의 집에 카메라도 자유자재로 설치하고 별 짓 다한다. 근데 그러면서도 엄청 가난뱅이처럼 살고 있다는 것이 참.... 뭐랄까. 아무튼.

그러나, 그렇게 구멍이 많고 뭔가 미흡한 구석들이 있음에도 전반적으로 매우 훌륭하고 재미있는 소설임은 부정할 수 없다. 500페이지까지는 거의 뭐 우와 우와 하면서 봤을 정도니까. 그리고 또 하나, 그와 별개로 이 소설의 매우 흥미로운 지점은 작가 자신이 흑인이라 그런지는 몰라도 주인공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이 흑인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뭐 흑인 캐릭터가 이제껏 한둘이었냐 그게 뭐가 흥미롭냐 하는 사람들이 있을 텐데, 읽으면서 인물들이 ‘흑인’이라는 것이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는 부분이 참 재미있다. 분위기, 행동, 생각, 말투, 등등. 그렇다고 백인으로 느껴진다는 건 아니다. 그렇다기보다는 아예 흑인이든 백인이든 아시아인이든 어떤 인종으로서의 색채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고 해야겠다. 그런 와중에 중간중간 흑인 어쩌고 하는 대사가 나오는 걸 보고 아 맞다 이 사람 흑인이었지, 하고 깨닫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나는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가 그동안 얼마나 흑인의 스테레오 타입에 젖어 있었는지를 여실히 느꼈다. 그동안 어떤 전형성을 갖춘 흑인 캐릭터만 접하다가 막상 그렇지 않은 흑인을 보니 흑인이라는 게 쉽사리 연상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면서 최근의 인어공주 흑인 배우 캐스팅 논란이 다시금 떠올랐다. 우리가 어떤 캐릭터나 이야기를 생각할 때 인종, 성별, 직업, 외모 등에 있어서 얼마나 고정관념과 편견에 사로잡혀 있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최근 몇 년간, 사회의 여러 층위에서 정치적 올바름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었다. 특히나 그 정치적 올바름은 예술 분야에서 가장 강하게 이야기되었고, 그로 인해 비판도 많았던 것으로 안다. 정치적 올바름이 창작의 자유를 제한한다거나, 예술의 지평을 좁힌다는 이야기가 많은데, 나는 전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인어공주를 앞으로 영원히 흑인 배우만 해라, 제임스 본드는 앞으로 무조건 여성이다, 이런 식으로 나오면 곤란하겠으나, 여성 제임스 본드, 흑인 인어공주, 남성 신데렐라 등등, 얼마나 매혹적이고 재미있는가.

정치적 올바름을 추구함으로써 우리는 기존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전복시키는 과정을 거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오히려 더 다양한 이야기, 새로운 이야기, 재미있고 흥미로운 이야기가 탄생할 수 있다. 이 소설 역시 흑인 작가가 썼기에 이런 흑인 캐릭터를 만들어낼 수 있었겠지만, 아무튼 이런 ‘평범한’ 흑인, ‘평범한’ 아시아인 등 스테레오 타입에서 벗어난 인물들이 점점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하여간 뭐, 여러모로 흥미롭고 즐겁게 읽은 소설이지만 후반부 100페이지 때문에 뭐라 딱 집어서 말하기는 어려운. 그래도 앞으로 더 알아보고, 읽어보고 싶은 그런 작가였다. 스티븐 킹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대략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듯. 모리스 샌닥의 동화와, 북유럽 신화와, 천재 해커와, 아이 돌보기의 고됨과, 중고책 상인의 애환과, 빛나는 사랑이야기와 기타 등등. 여러 가지가 엄청나게 버무려진 즐거운 소설이었다. 그중 몇 가지는 좀 빼도 되지 싶은, 아니 빼는 게 더 나았지 싶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